(서울=뉴스1) 김지현 박재하 기자 =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4일 의회 중심 정부형태인 의원내각제로의 개헌 제안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여의도 한흥빌딩에 위치한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원내각제 개헌은 국민 정서상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지사는 대통령이 세종에서 집무하는 장관들과의 긴밀한 소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세종에 집무실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종 집무실은 대통령과 장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될 수 있다"며 "세종 집무실에서 대통령이 장관과 긴밀하게 협의하는 국정운영 시스템은 이미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장관 책임제 형태로 논의돼 왔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이 수석과 상의해 결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장관과 협의해 국정 방향을 정하고 대통령실은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책임 장관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장관이 어느 범위까지 정책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며 "그 선을 명확히 한 상태에서 장관이 책임을 지고 운영하고 필요시 대통령과 자주 토론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서는 "올해 대통령실 예산이 이미 책정돼 있어, 이를 기존 예산으로 전용하거나 예비비를 사용할 수 있다"며 "법적 근거가 필요할 경우 국회와 논의해 신속하게 입법하면 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대선 후보들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경선 과정에서 각 당 후보들이 입장을 밝히는 게 중요하다"며 "그 입장을 토대로 국회와 여야가 합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 이전 현실성과 관련한 질문에는 "현재 청와대는 본관, 관저, 춘추관이 개방돼 있어 보완이 필요하긴 하지만, 여민관 등은 여전히 업무용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라며 "대선 이후 바로 입주가 가능하며 지하 벙커나 보안시설 등은 순차적으로 이전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광화문 청사는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경호상 문제로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면서도 "지금의 용산보다는 훨씬 나은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민주당 대선 경선 방식과 관련해서는 "정당의 가장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경선 룰을 미리 정해 예비 후보들이 준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경선 직전 룰 싸움으로 국민 눈살을 찌푸리게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당도 사전에 후보 선출 규칙을 확정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역선택이나 당원 참여 범위 등 실무적인 우려에 대한 방침이 정해지면 후보 진영이 납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저희 캠프 의견도 당에 전달한 만큼, 조속한 경선 룰 확정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