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예원 기자 = 시민단체 군인권센터가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해병대원 사망 사건의 진상 규명을 방해했다고 주장하며 대통령실과 관저에 대한 압수수색을 요구했다.
군인권센터는 성명서에서 "윤 전 대통령은 임기 3년 동안 국방부, 해병대 사령부 등에 외압을 넣어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주요 책임자를 구명하려 했다"라며 "사건 이후 출국 금지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 대사로 임명하고 3번이나 거부권을 행사해 특검 수사를 틀어막았다"라고 했다.
이어 "간신히 시행하기로 한 국정조사는 여야 합의로 위원회 구성까지 마무리했지만 비상계엄 선포로 개시를 앞두고 중단됐다"라며 "윤 전 대통령은 경호처를 통해 내란 범죄 증거를 파기해 온 의혹을 받고 있는데, 수사 외압 관련 증거 역시 퇴거를 늦추는 새 파기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군인권센터는 이날 중으로 대통령실과 관저에 대한 압수수색과 임 전 사단장의 구속 수사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고위공직자수사처(공수처)에 보낼 예정이다.
임 전 사단장은 해병대원 사망 사건 당시 그가 소속된 해병대 제1사단의 사단장으로, 해병대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를 인지해 사건을 경찰로 이첩하려 했지만 이를 보고 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해 사건 이첩이 보류됐다는 의혹이 일었다.
이같은 외압 의혹에 대해 공수처는 수사팀을 꾸리고 2024년 1월 국방부 등에 대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으나 비상계엄 등의 여파로 아직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kimye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