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재준 임세원 임윤지 기자 = 이재명·김경수·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3일 두 번째 TV토론에 나섰다. 기본사회와 개헌 등을 놓고 약간의 신경전이 있었지만 '어대명'(어차피 대선 후보는 이재명) 경선 분위기를 반영하듯 열띤 논쟁 없이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토론이 진행됐다.
세 후보는 이날 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 후보자 오마이TV 초청 토론회 민생 경제 회복 방안과 대통령 취임 후 우선 과제 등 주제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세 후보는 이날 토론회에서도 개헌으로 맞붙었다. 포문은 김동연 후보가 열었다.
김동연 후보는 "(취임 후) 첫 100일이 제7공화국을 여는 기간으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개헌 절차에 바로 돌입하겠다"며 대선과 총선을 동시에 치르기 위한 대통령 임기 단축과 행정수도 이전, 5·18 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 등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이 후보는 "개헌을 시급하게 해야 하는지 의문이다. 국민이 먹고 사는 문제에 직결되는 것도 아니고 개정 헌법이 즉시 시행되는 것도 아니어서 여유를 둬도 괜찮다. 일단 경제 민생에 집중해야 한다"고 응수했다.
김경수 후보도 "개헌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내란세력과 동거하는 정치 세력과는 (개헌) 논의에 당장 착수하기 어렵다"라고 즉각적인 개헌에는 선을 그었다.
개헌 신중론에 대해 김동연 후보는 지난 대선 당시 단일화 과정에서 이 후보가 개헌을 약속한 것을 언급하며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이 되고서는 그전에 약속한 개헌 추진을 거의 하지 않았다. 천천히 시간을 두고 하겠다는 건 국민이 보기에 임기 내에 안 하겠다는 말로 들릴 것"이라고 꼬집었다.

세 후보는 차기 대통령이 임기 100일 동안 해야 할 우선 과제에 대해 각기 다른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제일 중요한 건 한미 통상 협상"이라며 "지금 당장 민생도 어렵다. 내수진작을 위한 긴급 조치도 해야 한다. 힘 없는 서민이 지금 당장 살아 나갈 민생 추가경정예산(추경)안부터 확실하게 챙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수 후보는 "정책 공약을 정리해 소위 5개년 계획을 빨리 세워야 한다. 내각 구성도 바로 착수해야 한다"며 "한반도 평화와 전쟁을 방지할 수 있는 대비태세도 신속히 갖춰야 한다"고 했다.
김동연 후보는 "경제가 제일 급한 게 아니겠나"라며 "경제 워룸을 만들어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대책회의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 후보의 대표 정책인 '기본사회'도 주제로 올랐다. 당사자인 이 후보는 물론 김경수·김동연 후보 모두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동연 후보는 "앞으로 먼 미래에 일하는 소수와 일 안 하는 다수를 상정하면 기본사회는 필요하다"면서도 "그전까지 우리 사회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으로서 지금은 성급하다"고 했다.
김경수 후보도 "기본사회라는 방향에는 동의한다"면서도 "지금 바로 가기에는 정부 재정에 문제가 있다.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필요한 기본사회 요소는 빈곤 해소"라고 말했다.
이 후보도 "(기본사회는) 지금 당장 할 수도, 해야 하는 것도 아니지만 준비해야 한다"며 "경제와 성장을 준비해야 하지만 (기본사회를) 포기하는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세 후보가 이날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했지만 첫 번째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치열함은 없었다. 김동연 후보는 토론회 도중 "토론회가 아닌 간담회 같은 느낌이 든다"고도 했다.
hanantwa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