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원태성 한병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6일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야권 완전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방식과 관련해 "각 당에서 대통령 후보를 정하고 이후에 야권 단일화해 정권 교체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단 지도부 차원에서도 당내에서 논의된 바 없기 때문에 사무총장 개인 의견 전제로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아직 조기 대선 공고일이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하기 전까지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선 관련해 이 대표와) 논의한 바 전혀 없다"며 "대선일이 공고되면 이 대표 본인이 (사퇴 등을) 결정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선 준비 관련해서 우리들이 준비했던 핵심은 실제 매우 실무적 문제"라며 "실무적 차원에서 60일 이내 대선을 치러내야 하고 대선 30일 앞두고는 후보가 선출돼야 한다"며 "대선 치르기 위해서 우리 당의 특별 당규를 결정하고 당헌·당규를 정리해야 하며 선관위도 구성해야 하므로 그동안 이런 실무적인 것들을 준비해 왔다"고 했다.
이어 "당 특별 당규에 있는 경선 방식은 국민경선과 국민참여경선 2가지"라며 "우리는 이 2가지 방식으로 경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준비를 진행해 왔다"고 덧붙였다.
김 사무총장은 또한 이 대표가 여론조사에서 박스권에 갇혀있다는 평가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그는 "이 대표가 우리 당의 유력 후보인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면서도 "박스권에 갇혀있다는 평가는 여론조사 데이터가 다양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실제 다자 대결에서도 50% 이상 지지율을 보여주고 있는데 야당 후보가 다자간 데이터상 50% 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그래서 박스권에 갇혀있다는 평가는 공유할 수 있는 근거가 다르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 본다"고 했다.
다만 "이 대표를 포함한 민주당 후보의 지지도를 더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며 "윤석열 파면 과정에서 국론이 분열돼 있고 국민 갈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민 대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민주당 차원의 대처를 논의하고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kh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