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비우고 거리로…헌재 앞 대치전선, 여야 의원들 참전(종합)

국힘, 개별 의원들 릴레이 시위…나경원 등 82명 '각하' 탄원서 제출
민주, 단식·삭발 이어 광화문까지 도보 행진…"빨리 尹 선고하라"

윤상현(오른쪽)·강승규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 촉구 릴레이 시위를 하고 있다. 2025.3.11/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윤상현(오른쪽)·강승규 국민의힘 의원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 촉구 릴레이 시위를 하고 있다. 2025.3.11/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김일창 박기현 임세원 기자 =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하자 장외로 달려 나가고 있다. 탄핵 '기각·각하'와 '인용'을 촉구하며 서로를 향해 헌재 압박을 중단하라고 촉구하지만, 어느 곳도 결과 승복에 대한 메시지는 내지 않아 눈살만 찌푸린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큰 상황이다.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개별 의원을 중심으로 헌재의 탄핵심판 선고가 나올 때까지 장외에서 활동을 이어간다.

주 무대는 헌재 주변이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박대출·장동혁·김선교·강승규 의원과 함께 전날(11일) 오후부터 서울 종로구 헌재 정문 앞에서 24시간 연속 릴레이 시위를 시작했다. 이들은 윤 의원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1명당 24시간씩 시위를 한다.

오는 13일부터는 5명씩 조를 꾸려 '5인조'로 확대한다. 김기현 전 당 대표와 추경호·윤재옥 전 원내대표도 참여 의사를 밝혔다.

국민의힘 의원 82명은 이날 헌재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을 각하해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지난달 28일 1차 공개 탄원서에 이은 두 번째 탄원서다. 1차 탄원서에는 국민의힘 의원 76명이 이름을 올렸다.

다만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참여하지 않았다. '차분한 대응'을 기조로 삼은 지도부 방침 때문으로 풀이된다.

탄원서 제출을 주도한 나경원 의원 등은 "대통령 탄핵소추 핵심 사유였던 내란죄가 철회돼 안건의 동일성을 상실했다"며 "탄핵 심판을 각하해 줄 것을 청구한다"고 밝혔다. 나 의원은 탄원서 제출이 헌재를 압박하지 않는다는 당 지도부 기조와 다르지 않냐는 지적에 "간절한 소망과 읍소"라며 "지도부와 (탄원서 제출에 대해) 소통했다"고 말했다.

본문 이미지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1일 저녁 서울 종로구 경복궁 앞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규탄발언을 하고 있다. 2025.3.11/뉴스1 ⓒ News1 허경 기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1일 저녁 서울 종로구 경복궁 앞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규탄발언을 하고 있다. 2025.3.11/뉴스1 ⓒ News1 허경 기자

민주당은 더 적극적이다. 윤 대통령의 석방이 탄핵 기각이라는 잘못된 신호로 국민에게 읽혀 실제 헌재의 평의 과정에 영향을 미칠지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당 대표는 이날 광화문에 설치된 민주당 천막농성장에서 대표적인 비명계(비이재명계) 인사인 김경수·박용진·김부겸·이광재를 만나 헌재의 조속한 윤 대통령 파면 결정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국민적 상식, 역사적 소임에 어긋나는 결정을 어떻게 하겠냐"며 "헌재가 적절히 잘할 거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민주당 의원 전원은 탄핵심판 선고일까지 매일 국회에서 광화문 천막농성장까지 약 8.8km의 거리를 도보로 행진한다. 당 서울시당 차원에서는 이날부터 선고일까지 출근시간 지하철과 점심시간 번화가에서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대국민 행동에 나선다.

삭발과 단식도 동원됐다. 민주당 박수현·민형배·강득구·김준혁 의원과 진보당 윤종오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대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전날부터 단식 농성에 들어갔다. 여기에 야당 의원 49명이 합류, 릴레이 단식 투쟁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 대표와 만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역시 지난 9일부터 광화문 인근에서 단식을 하고 있다.

민주당 초선 김문수·박홍배·전진숙 의원은 조속한 탄핵 선고를 촉구하며 삭발했다.

민주당은 오는 14일 최고위원회의를 광화문에서 개최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이같은 여야의 상황을 보고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자기에게 유리한 결론을 위해 헌재를 압박만 하지 결과를 승복하겠다는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국회의원이 국회를 비우는 것 자체가 잘못인데 비우면서도 정작 결과 승복 메시지는 어느 쪽에서도 나오지 않고 서로를 향해 장외로 나간다고 비판만 한다"며 "내로남불도 이런 내로남불이 없다"고 말했다.

ic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