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전직 국회의장과 국무총리, 당 대표들은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 심판 최종 변론에서 꺼낸 '개헌'에 대해 공감하면서 구체적인 추진 계획 등이 나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모임'은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정대철 헌정회장과 박병석·정세균 전 국회의장, 이낙연 전 국무총리, 서청원·김무성·황우여 전 국민의힘 대표,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가 참석했다.
서청원 전 대표는 "국민이 좌우로 갈라서 있으니까 통합해야 하는데 구체적 방법이 개헌"이라며 "60% 이상의 국민이 개헌을 원하기 때문에 윤 대통령 말씀은 다행이지만 구체성이 없으니까, 국민의힘에서 입장을 분명히 한 다음에 야당이든 국회의장이든 찾아가 일을 성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무성 전 대표는 "윤 대통령이 전향적인 자세를 취했기 때문에 오늘부터 여야가 합의해서 탄핵 재판을 중단시켜야 한다"며 "그 다음에, 백년대계에 맞는 새 헌법을 만들고 큰 문제를 야기한 윤 대통령은 책임지고 사임하고, 여야가 이 문제를 갖고 오늘부터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싶다"고 했다.
손학규 전 대표는 "어제 윤 대통령의 개헌 발언을 보고 물꼬가 좀 트일 수 있나 생각했다"며 "만약 탄핵이 기각돼 복귀한다면 거국내각을 확실히 만들어야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어느 정도 양보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말했다.
정세균 전 의장은 "대통령이 모처럼 의미 있는 발언을 했지만 실질적으로 효용이 없지 않을까 걱정"이라며 "빨리 개헌하는 것이 대한민국 미래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했다.
박병석 전 의장은 "지금 탄핵에 반대하는 40%의 목소리도 국정에 반영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며 "그런 제도를 개헌과 선거법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낙연 전 총리는 "지금의 권력 충돌, 국가 파탄이야말로 87체제의 장송곡 같다"며 "개헌을 하지 않고 가면 죽은 체제 위에서 새로운 권력이 탄생하는 것으로, 덕성이 매우 의심스러운 사람이 된다면 지금보다 더 심한 파탄이 오지 말란 법이 없지 않나"라고 말했다.
헌정회는 오는 3월 5일 오후 2시 서울역 광장에서 개헌 서명 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ic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