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국회와 정부 수장이 20일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국정 안정을 위해 국정협의회를 갖고 한 자리에 둘러 앉았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5시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국정 안정을 위한 국회-정부 국정협의회에 참석했다.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마친 뒤 우 의장의 권유로 먼저 모두 발언을 하게 된 최 권한대행은 "민생 3대 대책을 간곡히 제안한다"며 반도체특별법 제정, 글로벌 첨단 산업과 일자리 전쟁 총력 대응, 민생 경제 안정을 제안했다.
특히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제외된 반도체 특별법은 '반도체 보통법'에 불과하다며 이를 포함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예산 편성 권한은 엄연히 정부에 있는데 국회가 일방적으로 감액 처리한 것은 분명히 잘못"이라며 "더이상 나쁜 선례를 남기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직 국민만 바라보며 민생 현안을 신속히 논의해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협치"라고 말했다.
반도체 특별법에서 '근로시간 특례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하는 게 낫지 않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의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다고 밝힌 이재명 대표는 "추경(추가경정예산)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작은 차이를 넘어서 가능한 합의들을 끌어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통상 외교가 중요한 때인데 국정협의회를 가동하는 것으로 정부와 민간의 대외 활동도 힘이 실리게 될 것"이라고 밝힌 우원식 의장은 "오늘 적어도 추경편성에 합의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추경 합의는 국민이 가장 기다리는 소식일 것"이라며 "그 자체가 국정 안정에 신호탄이고 경제 심리의 출발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coinlock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