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부터 시장 진출까지…'서울형 R&D'에 역대 최대 410억 투입

서울시 "글로벌 AI 혁신도시로 거듭"

본문 이미지 -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는 인공지능(AI)을 필두로 한 글로벌 기술 대전환에 대응하고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고자 올해 '서울형 R&D 지원'에 역대 최대 규모 예산을 투입, 혁신 기술 발굴부터 개발·실증·시장진출까지 전 과정 전폭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여기에 전년(367억 원) 대비 약 12% 늘어난 410억 원을 투입한다.

시는 올해 저비용·고성능 AI 모델 등장을 계기로 초기 기술개발(Pre-R&D)~기업성장 R&D~테스트베드(Post-R&D)까지, R&D 전 분야에 AI 투자를 확대해 'AI 3대 강국 도약'의 초석을 놓는 원년으로 삼는다는 각오다.

'R&D 관리지침' 정비…서울형 R&D 종료되면 '정책 사다리'

시는 R&D 수행 과정에서의 기업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R&D 관리지침'을 정비하고 규제철폐를 위한 신규 R&D도 추진한다. 또 국내·외 시장진출 시 직면하는 인허가 규제 해소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지속적인 규제 과제 발굴을 위한 기업 소통 창구도 운영한다.

서울형 R&D 수행 시 연구 활동 제한을 최소화하고 우수 연구 인력이 유입되도록 규제도 정비한다. 규제 샌드박스 기간이 종료된 기술을 시장에 내놓을 때 성능 개선, 안전관리 등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규제돌파 R&D' 과제도 신규로 추진한다.

아울러 사업화 자금 부족, 국내외 시장 개척 등 서울형 R&D 종료 후 기업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소해 주기 위한 맞춤형 정책 사다리도 놓는다. 이밖에 △신성장산업 분야 유망 기술 보유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글로벌 R&D' △우수 기술 글로벌시장 개척을 지원하는 '테스트베드 해외실증 시범사업' △기술특례상장 사전진단 컨설팅 △유망 국제전시회 참가 지원 등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을 기획 중이다.

신성장산업 육성에 195억·R&D기업 전폭 지원

서울시는 세계적으로 근본혁신기술(딥테크)이 산업을 주도하고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6대 신성장산업 육성에 195억 원을 투입한다.

바이오·의료 제품의 시장진입 촉진을 위한 인허가 상담회를 정례화하고,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품질 인증 및 개발 후 AI 모델 신뢰성 인증에 필요한 컨설팅도 제공한다. 또 서울로봇쇼(로봇), 엔터테크서밋 2025(창조산업) 등 국내외 행사 참가도 지원한다.

R&D 스타기업 배출을 위한 기업 성장도 전폭 지원(78억 원)한다. 혁신기술 스타트업의 등용문이 된 '서울혁신챌린지'를 통해 경쟁력 있는 초기 기술이 핵심 기술로 도약할 수 있게끔 돕고, R&D 투자와 자금 보증을 연계하는 '기술보증기금 연계 R&D 사업'을 신설, 기술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총 3단계에 걸쳐 지원한다.

또 '민간투자연계 R&D(서울형 TIPS)'를 통해서는 투자사가 투자(또는 확약)한 과제를 선발해 기술사업화 및 시장진출을 지원, 민간 펀딩 및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기업을 빠르게 성장시킨다.

마지막으로 시는 기술사업화 및 약자 동행 기술 전파에 102억 원을 지원한다. '테스트베드 서울'을 통해 혁신 기술 실증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실증기관의 사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기준도 마련한다.

서울형 R&D 지원은 R&D에 참여한 중소·벤처·창업기업 매출 증대와 일자리 창출로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사업에 참여한 총 884개의 과제의 성과를 분석한 결과, 기업 매출은 누적 6396억 원, 일자리는 5957개가 창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한 해 동안 R&D 기업 중 7개 기업이 코스닥 상장에 성공했으며, 2025년 CES에서는 14개 기업이 혁신상을 받았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딥테크 기술은 이제 세계 경제와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가는 핵심 기술"이라며 "서울이 기술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AI 혁신도시'로 거듭나 수많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R&D 분야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jung9079@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