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뉴스1) 김용빈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주요 정치 일정에 큰 변화가 생겼다. 불확실한 정치환경에 1년 뒤 치를 지방선거를 준비해 온 충북 정치권과 예비 주자들은 조기 대선을 주시하고 있다.
대선 결과가 1년 후 치러질 지방선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난 탄핵 정국에서 기여도와 충성도, 대선 과정에서의 역할에 따라 지선 공천 여부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8일 국무회의를 열어 차기 대선일을 오는 6월 3일로 확정했다.
탄핵 정국이 없었으면 2027년 3월 3일 치러질 대선이 윤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내년 9대 전국동시지방선거일에 정확히 1년 앞서 치러진다.
과거 사례를 보면 대선과 직후 치러진 지선의 결과는 무관하지 않았다. 컨벤션 효과와 함께 새 정권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시기인 만큼 여당에 유리한 결과가 나타났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진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압승을 거뒀다. 헌정사상 첫 대통령 탄핵이라는 충격파는 다음 해 7대 지선까지 이어졌고, 여당은 17개 광역단체 중 14곳을 석권했다. 충북에서는 도지사를 비롯해 12곳 중 8곳을 휩쓸었다.
국민의힘 역시 2022년 대선과 84일 만에 치러진 지선에서 '대선 승리=지선 승리'라는 공식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12곳의 광역단체장 자리를 되찾으며 설욕했다.
이번 선거도 탄핵과 대선 그리고 지선까지 이어진다는 점에서 2017년 상황과 비슷하다. 지선 주자들은 대선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따라 지선 공천권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는 만큼 '자기 정치'보다 대선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도 지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단체장이나 예비 주자가 탄핵 정국에서 드러낸 탄핵 찬반 의견은 민심의 평가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대통령 퇴진에 앞장섰거나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활동 등 이력에 따라 유권자의 선택이 갈릴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각 정당은 이를 활용한 선거 전략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탄핵 정국에서 잡은 주도권을 대선과 내년 지선까지 이어가려 하고, 국민의힘은 과거의 과오를 지우고 기존 지지층 결집을 통한 분위기 반전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모든 정당이 대선에서 이겨야 지선에서 이긴다는 생각으로 선거에 임할 것"이라며 "대통령 탄핵 찬반 의견을 낸 단체장이나 정치인들에게 민심은 어떤 평가를 할지 관심이다"라고 말했다.
vin06@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