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산불 예방·복구는 산림청, 진화는 소방청 일원화시켜야"

"역할분담 불명확해 초동대응 지연" 잇단 지적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안동시 남후면 일대 야산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이 화선 정리 작업을 하고 있다. 2025.3.2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안동시 남후면 일대 야산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이 화선 정리 작업을 하고 있다. 2025.3.2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대구·경북=뉴스1) 정우용 이성덕 기자 = 산불 예방과 복구는 산림청, 산불 진화는 소방청으로 전문화시켜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일주일간 계속된 경북 산불로 26명이 숨지고 피해 영향구역이 서울 여의도(290㏊)의 151배에 달하는 규모에 달할만큼 엄청난 피해를 냈지만 산불 진화에 산림청과 소방청의 지휘권이 불분명해 화를 더 키웠다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현재 산불 진화는 산림청이 주관하되, 대형 산불이나 인명 피해 우려 시 소방청이 개입하는 구조인데, 이로 인해 책임소재와 지휘권이 불분명한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공 교수는 "이번 경북 지역 산불은 매우 건조한 기상조건과 순간풍속 초속 20m 이상의 강풍이 겹치면서 진화가 극히 어려운 상황" 이었다며 "특히 청송, 의성, 안동, 영양, 영덕 등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점이 대응을 분산시켜 진화에 더 어려움이 컸다"고 분석했다.

이어 "고지대와 급경사지가 많은 지역 특성상 장비 접근이 어려워 헬기 의존도가 컸지만, 강풍으로 헬기 운용이 제한되며 진화 속도가 더뎠다" 며 "진화 지휘 체계가 일원화되지 않고, 산림청과 소방청 간 역할 분담이 불명확해 초동 대응이 지연됐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선진국처럼 산불 예방과 복구는 산림청, 산불진화는 소방청으로 역할과 책임소재를 확실히 해 전문성을 더 강화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의성 산불이 안동, 청송, 영양, 영덕으로 동시 다발로 번지면서 산불 총괄지휘권을 가진 산림청이 엿새째 주불을 잡지못하자 일부 전문가들은 "소방청으로 지휘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손원배 초당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산불 지휘권을 놓고 산림청과 소방청이 오랫동안 숙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며 "불이 나면 시민들이 119로 전화하는데 신고 체계가 잘 갖춰 있고 기초지자체의 읍·면·동까지 119안전센터가 있어 초기 대응이 가능한 소방청이 산불 현장을 지휘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직 이기주의로 인한 피해는 시민들이 보게 된다" 며 "지휘 체계를 일원화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newso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