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청=뉴스1) 한송학 기자 =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기존의 방식으로는 대형 산불을 막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산불은 사회 재난이 아닌 자연 재난으로 분류해 강력하게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도 했다.
산청·하동 산불의 주민 대피는 잘 대응한 것 같다고 평가하면서 재난 상황에서는 인명 피해 최소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헬기와 진화 대원 부족 등 기존의 문제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대비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1일 산불 피해가 큰 산청군 시천면 중태마을을 방문해 산불 현장을 둘러보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제는 산불을 사회 재난 차원에서 관리하기에는 보상이 약하고 대응도 역부족인 것 같다"며 "다른 나라들은 산불을 이제 기후 변화로 인해 불가피하게 생기는 자연 재난으로 분류하고 대비 체계들을 강력하게 대책을 세워 나가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도 기존 방식으로는 대형 산불을 막기는 어려운 것 같다"며 "앞으로 산불 대응은 국가적으로 전혀 다른 체계의 대응이 필요한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재난 상황에서 최우선은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며 "주민 대피 대응은 잘했던 것 같다. 이후에도 재난 과정에서는 최우선으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산불 진화를 위해 헬기와 진화 대원 등 기존에 계속 거론돼 왔던 문제들이 지금 하나도 개선된 게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을 계기로 국가적 차원에서의 대비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산불 현장을 둘러본 후 산불 피해 임시 거주 시설인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을 방문해 주민들을 위로했다. 이 시설에는 시천면 중태·외공·자양마을 주민 등 14세대, 24명이 머물고 있다.
h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