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안전사고 8.5만건…영유아 침대 추락·고령자는 바닥 미끄러짐↑

작년 안전사고 8만5639건…전년比 8.0%↑
영유아·고령자, 주택 내 사고 잦아…뇌진탕·골절 주의

본문 이미지 - 가정 내 안전사고 접수 비율(한국소비자원 제공). 2025.3.24/뉴스1
가정 내 안전사고 접수 비율(한국소비자원 제공). 2025.3.24/뉴스1

(세종=뉴스1) 이철 기자 = 지난해 안전사고가 8만 5000건을 넘기면서 최근 4년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가정 내에서 영유아, 고령자의 안전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8만 5639건으로 전년(7만 9264건) 대비 8.0% 증가했다.

연도별 위해정보 건수는 △20년 7만 22건 △2021년 7만 4000건(이하 전년 대비 증가율 5.7%) △2022년 7만 8591건(6.2%) △2023년 7만 9264건(0.9%) △2024년 8만 5639건(8.0%) 등이다.

지난해 위해 발생 장소는 '주택'이 전체의 51.3%에 해당하는 4만 391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로 및 인도 1만 137건(11.8%) △숙박 및 음식점 4250건(5.0%) △여가, 문화 및 놀이시설 1438건(1.7%) 순이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1만 8382건(21.5%)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0세 미만 1만 3350건(15.6%) △50대 8122건(9.5%) △40대 7993건(9.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안전사고 4만 3910건 중 연령 확인할 수 있는 3만 8383건을 생애주기별로 분석한 결과 영유아(7830건)와 고령자(1만 751건)의 주택 내 위해 발생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주요 위해 원인을 살펴보면 영유아는 추락(3252건, 41.5%)이, 어린이 미끄러짐·넘어짐(465건, 24.1%)이 가장 많았다.

청소년(285건, 39.1%)과 청년(973건, 32.3%)은 식품 섭취에 의한 위해, 성인은 기타 불량 및 고장(5048건, 35.7%)으로 인한 위해가 많았다. 고령자는 미끄러짐·넘어짐 (7,423건, 69.0%)이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영유아·고령자의 주요 위해 원인별 위해다발품목을 세부 분석해 보니 영유아는 침대(1550건, 47.7%)에서 가장 많이 추락했다. 고령자는 주로 석재 또는 타일바닥재(3548건, 47.8%)에서 미끄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별로는 영유아(1735건, 22.2%)와 고령자(4011건, 37.3%) 모두 타박상이 가장 많았다.

특히 영유아는 뇌진탕(858건, 11.0%), 고령자는 골절(1588건, 14.8%)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iro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