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1910년 3월 26일, 중국 하얼빈역에서 대한제국의 국권을 유린한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안중근 의사가 뤼순 감옥에서 순국했다.
이토 히로부미는 대한제국 강제 병탄의 주역이자 동아시아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였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의 악행을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직접 처단하기로 결심했다. 1909년 10월 26일, 그는 하얼빈역에서 러시아 재무장관 코콥체프와 회담을 마치고 나오는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권총을 발사해 사살했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후 현장에서 체포됐다. 그는 일본 관동도독부 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재판 과정에서 자신의 행위가 대한독립군 군인으로서 개인적인 원한이 아닌, 대한제국의 독립과 동양 평화를 위한 정당한 의거였음을 당당하게 밝혔다.
안중근의 의거는 국내외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일제의 침략 야욕을 전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대한 민족의 독립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줬다. 또한, 침체되었던 독립운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됐다.
안중근은 단순한 독립 운동가를 넘어, 평화와 공존을 추구한 사상가였다. 그는 재판에서 이토 히로부미의 죄 15개를 낱낱이 밝히고 옥중에선 '동양평화론'을 집필하며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존을 염원했다. 또한 자신은 군인 신분이므로 총살형에 처해달라고 주문했다. 이 같은 기개에 일본인 간수들조차 감복했다. 하지만 일제는 안중근의 뜻을 무시하고 그를 교수형에 처했다.
안중근은 순국 전 유언으로 "내가 죽은 뒤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옆에 묻어 두었다가 우리나라가 주권을 되찾거든 고국으로 옮겨다오"라고 남겼다. 그러나 일제는 안중근이 조선에서 영웅이 되는 것을 두려워해 그의 유해를 유족에게 넘기지 않았다. 안중근 의사의 유해는 순국 115주기가 되는 현재까지도 찾지 못하고 있다.
acen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