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양 부처는 산업부가 구축한 약 300만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소재 개발은 평균 10년 이상의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다. 산업부는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 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약 300만건의 소재 데이터를 국민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하게 된다. 원료, 조성, 공정에 따른 다양한 소재 특성을 담은 실험 데이터를 통해 국내 소재 기업들의 R&D 성공률을 제고하고 데이터 기반 창업도 촉진할 전망이다.
개방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민감하거나 미개방 데이터를 기술적·물리적·관리적으로 보호하면서 분석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안전하게 제공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현재 전국에 8개 기관(10개소)이 지정되어 있고 데이터 정밀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도구도 함께 제공한다. 이번에 산업부 소재 데이터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 기반이 한층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 부처는 소재 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데이터·AI 기반 소재 R&D 간담회'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AI 기반 소재 연구의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 및 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소재 산업은 인공지능을 접목한 R&D 혁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 중 하나"라며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기업들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는 소재 데이터와 같은 고품질 데이터 개방이 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된다"며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여러 사업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데이터 기반 소재 R&D 생태계를 강화하고 제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기술 경쟁력 제고를 적극 뒷받침해 나갈 계획이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