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가 진출을 희망하는 사우디아라비아·튀르키예·스페인·포르투갈 등 해외 시장에 안착하려면 규제 준수·고품질 더빙 등 현지화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 사업자의 해외 진출을 돕고자 '2024년 해외 OTT 시장조사 및 이용행태조사'를 27일 발표했다.
시장조사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진출을 타진할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사우디는 40세 미만 인구가 60%에 육박하며, 100%에 달하는 인터넷 이용률과 높은 구매력 덕에 시장이 유망하다. 하지만 '미디어규제총국'(GAMR)과 '통신우주기술위원회'(CTS) 등 기관 면허가 필수적이고, 보수적인 문화와 종교에 따른 규제가 존재한다.
튀르키예는 최근 불안정한 경제로 인해 구독료 부담이 상승하고 있으며, 인터넷 속도는 전 세계 평균보다 낮다. 또 '라디오·텔레비전 최고위원회'(RTÜK)로부터의 허가, 현지 법적 대표자 의무 등 제약이 있다. 종교, 국가비판 등 내용도 규제한다.
하지만 최대 30%까지 제작비를 환급해 주는 제도가 있다.
방언이 발달한 스페인은 공용 스페인어로 된 고품질 더빙이 필수적이다. 또 전체 콘텐츠의 30% 이상을 유럽 콘텐츠로, 그중 스페인어 콘텐츠가 15% 이상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럼에도 개방적인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OTT 소비가 확장하는 추세다.
포르투갈은 글로벌 OTT 점유율이 93% 이상이며, 이용자도 해외 콘텐츠를 더 선호한다. 다만 엄격한 개인정보보호법 준수가 요구되고, 유럽 콘텐츠 30% 규제는 스페인과 동일했다.
유럽 평균 대비 소득수준이 낮기 때문에 저비용 광고 기반 서비스(AVOD)를 시작으로 구독 기반(SVOD)으로 유인하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행태조사는 진출이 용이할 국가를 선정 후 △미디어 기기 및 K-콘텐츠 이용 빈도 △사용 요금제 △K-OTT 플랫폼 이용 의향과 선호도 등을 분석했다.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말레이시아, 호주 등 4개국서 각 1600여명이 조사에 응했다.
사우디는 가족과 함께 시청하는 비율(60.9%)과 K-OTT 이용 의향(70.1%)이 높았다. 문화적‧종교적 특성을 반영한 가족 소재 콘텐츠가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은 스마트폰(54.3%)을 주로 이용했으며, 마찬가지로 K-OTT 이용 의향이 높았다. 번역 품질을 중요하게(90.7%) 고려하는 게 특징이다.
말레이시아의 K-콘텐츠 이용률은 72.5%로 이미 높았다. 월정액 구독형(69.3%)과 광고 기반 무료형(68.2%) 요금제를 비슷하게 이용하는 게 특징이다.
호주는 K-영상 콘텐츠 이용률(16.6%)은 아직 낮았다. TV 이용률(47.3%)이 가장 높은 게 특징이다.
자세한 결과는 방통위 방송통계포털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