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강 기자 = 내수 둔화와 인건비 부담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식품업계가 저소득층과 재난 이재민에 대한 지원을 오히려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식품업계 가격 인상 감시 강화에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농심(004370)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32.6% 감소했지만, 사회공헌 활동은 오히려 강화했다. 농심은 '푸드뱅크'와 협약을 맺고, 생수와 라면으로 구성된 '이머전시 푸드팩' 1만 5000팩을 무상 지원했다. 전년도 1만 2000팩 대비 늘어난 수치다.
통상 전체 물량의 절반은 재해·재난 발생 시 활용할 수 있도록 비축하고, 나머지는 저소득 계층 지원에 쓰인다. 농심이 이번 경상권 산불에 지원한 구호물품은 총 18만 개로 기부금과 합쳐 총 5억 원에 이른다. 향후 여름철 수해 발생 시에도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오뚜기(007310) 역시 수익 감소 속에서도 사회공헌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12.9% 줄었지만 대한적십자사와 협력해 비상식량세트를 구성해 재난 시 이재민 및 구조 인력에게 제공했으며 결식 우려 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오뚜기 관계자는 "최근 경제 상황이 어렵다고 하여 사회 공헌 예산을 줄이진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익성이 개선된 경우 공헌 규모를 늘렸다. 대상(001680)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43% 증가하면서 저소득층 지원을 확대했다. 1998년 푸드뱅크 사업 초기부터 참여해온 대상은 지난해까지 총 561억 7000만 원을 기부했다. 연평균 20억 원 이상을 사회에 환원한 셈이다.
한편, 정부가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에 대해 감시 강화를 시사하자 업계에서는 "수익성 악화에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 식품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감시·조사에 나서는 건 과도한 처사"라는 반발이 나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4일부터 농심, 오리온 등 주요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시작했다. 최근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담합 가능성을 철저히 점검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3.6% 상승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을 웃돌았다. 품목별로는 김치(15.3%), 커피(8.3%), 빵(6.3%), 햄·베이컨(6%)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재룟값 인상, 인건비 증가 등으로 인한 전반적인 수익성 악화 속에서 불가피하게 가격을 인상했을 뿐, 업계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며 "그런 상황에서 담합을 전제로 한 조사는 사회공헌에 힘쓰는 업체들을 고려하지 않은, 사실상 가격 인하 압박"이라고 토로했다.
thisriv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