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명신 김진희 기자 = 명품 플랫폼 발란이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간다. 미정산 사태 후 '제2 티메프 사태'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추가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최형록 대표는 "파트너 여러분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뉴스1 단독 보도 ['정산금 지급 지연' 발란, 기업회생 신청 의혹] 후 5일 만이다.
앞서 온라인커뮤니티에는 '발란 기업 회생절차 준비 증거 파일'의 게시글이 게재됐다. 해당 게시글은 셀러(판매자)들이 발란 사무실에서 컴퓨터를 찍은 사진이라는 설명과 함께 발란의 기업회생 신청 의혹을 제기했다.
사진에는 '회생 관련 제출 자료' 항목이 있으며 '발란 정산 내역 재검토 공지' '판매자 문의별 대응 메시지' '방문 문의 공지' 등 최근 정산금 지급 지연 사태와 관련한 파일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발란 측은 기업회생 절차에 대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후 5일 만에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밝히면서 사전 준비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앞서 발란은 파트너사(입점사)에 대해 정산금 지급 지연 사태를 빚으면서 제2 티메프 악몽이 제기됐다.
티메프 역시 미정산 리스크 후 투자 확보 난항과 금융거래가 막히면서 유동성 악화에 따른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다. 발란 역시 미정산 논란 후 카드사와 PG사는 즉각 신규 결제 중단 조치에 나섰다.
최 대표는 "발란은 올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당초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돼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졌다"면서 "발란의 회생절차는 타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강조했다.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이달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판매 피해자 단톡방에서는 현재 800명이 넘는 셀러들이 분노를 표하고 있다. 일반 소비자의 금전적 피해 외에 판매자들의 수백억 원에 달하는 피해액이 고스란히 상거래채권으로 분류돼 정산 불확실성에 대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특히 최 대표가 이미 기업회생절차를 준비하면서 지난주 정산계획안을 미룬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최 대표는 "금주 중 매각 주관사를 지정해 본격적으로 M&A 실행에 나서며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해 자금 유입을 앞당김으로써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lil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