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가격제
(서울=뉴스1) 배지윤 기자 = 배달앱을 통한 주문 가격이 매장에서 먹는 가격보다 비싸다는 현상을 설명할 때 흔히 쓰이는 표현이다.
단어는 정확하지만 동시에 단정적이다. '이중'이라는 말이 주는 느낌이 생각보다 크다. 소비자 입장에선 자연스럽게 '차별'이나 '꼼수'라는 인상을 떠올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실상은 조금 다르다. 배달앱 수수료가 높다 보니 가맹점주 및 자영업자나 브랜드 입장에선 마진을 맞추기 위해 가격을 달리 설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가격을 자의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닌, 수수료 체계에 따른 불가피한 대응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중'이라는 단어가 붙는 순간 책임은 온전히 판매자 쪽으로 기울어버린다.
최근 업계에선 이런 용어 사용에 대해 조심스럽게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배달앱 가격제'처럼 중립적인 표현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이야기다.
언론이 소비자의 시선을 대변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동시에 구조적 원인을 설명하고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역할론도 제기된다.
특히 이 문제는 특정 브랜드의 정책 문제라기보다 배달 플랫폼 전반의 수수료 구조에서 비롯된 현상이다. 그럼에도 하나의 용어가 외식 업계 전체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씌우는 건 부담스러운 일이다.
언론이 선택하는 단어는 곧 시선을 만든다. 어떤 표현을 쓰느냐에 따라 누구를 중심에 두고 무엇을 보게 할지가 달라진다. 이중가격제라는 말이 가리키는 방향은 과연 공정한지 그 시선을 돌아볼 때다.
'배달앱 가격제', '배달앱 서비스 요금'이라는 표현이 정답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소비자가 더 나은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조적인 맥락을 함께 짚어보는 시도는 필요해 보인다. 언론이 그 시도를 시작하는 주체가 된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jiyounba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