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리사이클링타운 폭발사고, 태영건설 뿐 아니라 전주시도 책임져야”

한승우 전주시의원 “전주시, 모든 책임 태영건설 떠넘겨서는 안 돼”

(전주=뉴스1) 임충식 기자 | 2024-05-16 13:41 송고
한승우 전북자치도 전주시의원은 16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주종합리사이클링 폭발사고에 대한 전주시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고 나섰다./뉴스1
한승우 전북자치도 전주시의원은 16일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전주종합리사이클링 폭발사고에 대한 전주시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고 나섰다./뉴스1

“전주리사이클링타운 폭발사고는 예고된 사고이자 인재다. 사업시행자 대주주인 ㈜태영건설은 물론이고 관리감독 기관인 전주시도 마땅히 책임을 져야한다.”

한승우 전주시의원(정의당)은 16일 전북자치도 전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최근 전주리사이클링타운에서 발생한 폭발사고에 대해 전주시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전주리사이클링타운의 사업시행자인 ㈜전주리사이클링에너지의 지배주주는 태영건설이다. 이에 중대처벌법 처벌대상 1호는 당연히 태영건설이다”면서도 “하지만 전주시의 책임도 크다. 폐기물처리업 면허도 없는 ㈜성우건설이 운영사로 참여한 뒤 불과 3개월 만에 중대재해가 발생한 만큼, 운영사 변경 승인을 한 전주시도 마땅히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민간기업은 욕심을 낼 수는 있다. 하지만 기업의 욕심에 동조해 근본적으로 자격이 없는 기업에세 폐기물처리시설에 대한 운영을 맡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면서 “전주시는 사업자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지 말고 불행한 사고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전했다.

전북소방과 전북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2일 오후 6시 42분께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에 위치한 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 지하 1층에서 가스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근로자 A 씨 등 5명이 전신에 화상을 입었다.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면서 현재 이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으로 분류된 상태다.

전주종합리사이클링타운은 전주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하수슬러지, 재활용품을 처리하는 시설로, 민자투자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운영사는 태영건설과 에코비트원터, 성우건설, 한백종합건설 등 4개사로 구성된 리사이클링에너지가 맡고 있다. 대주주는 태영건설이다.


94chung@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