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미국 정부가 친팔레스타인 활동에 참여한 유학생들의 비자를 취소하겠다고 나서자 과거 언론에 팔레스타인 지지 의사를 밝힌 유학생들이 기사 삭제를 요청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하버드대학교 학보사 하버드 크림슨의 맥케나 맥크렐 편집장은 최근 2주 동안 10건의 기사 수정 및 철회 요청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러한 요청을 한 건 대부분 외국인 유학생들로, 과거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칼럼을 기고한 이들이나 팔레스타인을 옹호하는 인터뷰를 한 학생들이다. 이들이 조치를 요구한 기사 중에는 10년 전에 나간 기사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요청이 들어온 건 스탠포드대의 스탠포드 데일리와 플로리다대의 앨리게이터 등 수십 곳에 달한다.
펜실베이니아대 교지 데일리 펜실베이니아의 에밀리 스콜닉 편집장은 매주 5건에서 10건의 요청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다트머스대 학보사 편집위원회는 학생들의 인용 철회 및 삭제 요청이 "쓰나미처럼 밀려왔다"고 표현했다.
이는 최근 미국 대학가와의 '문화 전쟁'을 선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에 가담한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하고 이들을 구금·추방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버드대를 집중 타깃으로 삼으며 22억 달러(약 3조1300억 원)의 다년 보조금과 6000만 달러(약 850억 원) 다년 계약을 동결한 상황이다.
이날에는 미국 내 대학들이 해외 기부금을 받을 경우 이와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대학이 '성과'를 기준으로 인증받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월 샤프 백악관 비서관은 "행정명령의 기본적인 목표는 대학들이 얼마나 '워크'(woke·진보 의제를 통칭)한지가 아니라, 대학들이 제공하는 성과와 결과에 맞춰 인증을 받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stopy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