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또 대학 압박 "성과 증명해야 인증…해외기부금 정보공개"

행정명령 서명…백악관 "얼마나 진보적인지가 아닌 성과로 인증받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서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얼마나 빨리 내릴 수 있느냐는 중국에 달렸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2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서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얼마나 빨리 내릴 수 있느냐는 중국에 달렸다"고 밝히고 있다. 2025.04.24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미국 명문 대학들과 '문화전쟁'에 돌입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로운 행정명령을 발효하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내 대학들이 해외 기부금을 받을 경우 이와 관련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대학이 '성과'를 기준으로 인증받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월 샤프 백악관 비서관은 "행정명령의 기본적인 목표는 대학들이 얼마나 '워크'(woke·진보 의제를 통칭)한지가 아니라, 대학들이 제공하는 성과와 결과에 맞춰 인증을 받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학이 실제 교육 활동에서 적절한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인증 기관은 이를 고려해야 한다"며 "현재로선 그들이 충분히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해외 기부금과 관련해서는 "하버드를 포함한 일부 대학들이 이 법을 상습적으로 위반해 왔으며, 이 법이 효과적으로 집행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에 가담한 외국인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하고 이들을 구금·추방하는 등 대학가에서 벌어지는 반이스라엘 활동을 정조준하고 있다.

특히 집중 타깃이 된 건 반기를 든 하버드대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한 22억 달러(약 3조1300억 원)의 다년 보조금과 6000만 달러(약 850억 원) 다년 계약을 동결했지만,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맞서 싸울 것"이라는 의지를 굳건히 했다.

앞서 표적이 된 컬럼비아대는 4억 달러(약 5700억 원) 규모의 연방 지원금이 취소되자 친팔레스타인 시위 동안 교내 마스크 착용을 금지하고, 팔레스타인 연구 센터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가지는 새로운 교무부처장을 임명하며 한발 양보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하버드대는 쉽게 물러서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연이 깊은 법률 대리인단을 선임하며 보조금 동결과 관련해 법원에 가처분 구제를 요청했다.

yeseul@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