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미국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건에 우려를 표하고 향후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리아코커스 공동의장인 브라이언 샤츠 상원의원(민주당) 등 일부 의원들은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겠다며 신중함을 보이기도 했지만, 다수는 민주주의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는 취지의 목소리를 냈다.
3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리(VOA)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초대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공화당)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관련해 "한국 내부 문제"라면서도 "한국은 우리의 가까운 동맹국이다. 우리는 이번 사안을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역동적인 민주주의 국가로서 입법부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상원 외교위원회와 군사위원회 소속인 팀 케인 의원(민주당)은 "우려스럽다"며 "정치적 반대 세력과의 갈등은 보통 정치적인 영역 안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권자들은 입법부 다수당이 누구이고 누가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며 "정치적 반대 세력을 상대로 계엄령을 사용하는 것은 거의 항상 나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상원 외교위원장인 벤 카딘 의원(민주당)은 상원 외교위가 한국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한국 국회에서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가결된 데 대해 긍정적 입장을 내놨다.
그는 "우리는 한국 국회의 조치를 인정하고 민주주의 원칙과 법치에 대한 우리 양국 공동의 약속을 재확인한다"며 "한국 국민들의 결의와 한국 제도의 회복력은 의심할 여지 없이 이 어려운 시기를 헤쳐 나가는 데 지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 연방 상원의원에 당선돼 주목된 앤디 김 의원은 성명을 통해 "이런 방식으로 계엄을 선포한 것은 국민 통치의 근본적 토대를 훼손한 것"이라며 "국민이 안보와 안정을 누려야 할 시기에 한국의 취약성을 극적으로 높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도 "내 부모님은 한국전쟁 당시 한국에서 태어났다"며 "7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가 수천 명의 북한 병사들이 러시아 독재자를 위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싸우고 한국의 민주주의가 계엄령으로 휘청이는 모습을 보게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앞으로의 위태로운 시간 동안 어떤 경우에서도 폭력은 피해야 하며 법치와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일한 오마르 하원의원(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결정을 인권 침해와 반대 세력에 대한 탄압 시도로 규정하기도 했다.
그는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은 권력 유지를 위해 국민을 희생시키며 나라를 혼란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며 "윤 대통령의 결정은 인권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이자 반대 세력을 폭력적으로 억압하려는 시도임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윤 대통령의 행동을 분명히 규탄하고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위해 싸우는 시위대의 편에 굳건히 서야 한다"며 "한국 국민을 위한 더 밝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우리는 민주적 규범과 기본적인 인권이 반드시 존중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o1175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