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키운 라인, 일본이 강탈?…日매체 "반일감정 자극 움직임" 촉각

도쿄신문 "한국 매체들, 성향 불문하고 일본 비판"
이재명 대표와 조국 대표 등 반일 발언과 시민단체 반일시위 주목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라인프렌즈 플래그십스토어 강남점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2024.5.1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라인프렌즈 플래그십스토어 강남점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2024.5.13/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에 네이버와의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행정지도를 내린 사건과 관련해 한국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가 이어지자 일본 매체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진보 성향 매체인 도쿄신문은 한국 매체들이 성향을 불문하고 "일본이 네이버를 쫓아내려고 한다"는 내용의 논조로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라인야후에 대한 행정지도를 내린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이 이토 히로부미의 후손이라는 보도를 인용하며 "대한민국 사이버 영토 라인 침탈"이라고 비판한 점을 언급했다.

도쿄신문은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라인야후 사태에 항의하려는 목적으로 전날 독도를 방문한 점 또한 거론했다. 조국 대표는 "일본 정부가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의 경영권을 빼앗으려 하고 있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본문 이미지 -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보수성향 산케이 계열 후지뉴스네트워크(FNN)는 일본에서 라인의 월 이용자 수가 950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지만, 한국에서는 라인에 대한 선호도가 카카오톡에 비해 크게 떨어짐을 지적했다.

IT 저널리스트 미카미 요는 FNN 인터뷰에서 "원래 (라인) 앱을 개발한 것은 한국이고 데이터는 한일 양쪽에 있지만, 이것을 일본에 가져와 한국의 손이 미치지 않게 해서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해줬으면 하는 게 일본 정부의 생각"이라고 주장했다.

FNN은 일본에서 라인의 월간 이용자 수가 9500명으로 인구의 약 70% 이상이 쓰는 반면, 한국에서는 라인의 선호도가 1.6%에 불과하다는 점을 짚었다. 일본인 대다수가 이용하는 앱인 만큼 일본의 우려에 맞춰야 한다는 취지의 서술로 풀이된다.

TV아사히는 라인야후 사태를 둘러싸고 서울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 한국 시민단체들이 시위를 벌이며 "일본이 한국 기업을 강탈하려 한다"고 주장하는 장면을 내보냈다.

이 매체는 라인 자본 관계를 둘러싼 문제가 지난해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반일 시위의 주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past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