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 "미중 투자자, 양국 자본시장 대탈주시 3500조원 유출"

"주식·채권 투자금 강제처분 극단적 시나리오"…美, 中기업 증시퇴출도 배제 안해
中기업, 美상폐위험 대비해 홍콩 이중상장도…홍콩 매체 "트럼프가 주는 선물"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 로이터=뉴스1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미국과 중국의 극단적 디커플링(비동조화)으로 양국의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2조5000억 달러(약 3500조 원)에 달하는 돈이 유출될 수 있다고 골드만삭스가 분석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인용한 골드만삭스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금융의 디커플링이라는 극단적 시나리오에서 미국 투자자들은 8000억 달러의 중국 주식을 사실상 강제 처분해야 할 수도 있다.

반대로 중국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와 주식 시장에서 보유한 자산은 각각 1조3000억 달러, 3700억 달러라고 골드만은 추산했다. 미중 금융시장의 극단적 디커플링이 현실화하면 양국에서 모두 2조5000억 달러의 자본 유출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골드만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에서 "특히 중국 기업의 ADR(미국 주식예탁증서) 상장폐지라는 새로운 위험이 주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대중 압박카드 중에서 중국 주식의 뉴욕증시 상장 폐지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시사한 것과 관련된 내용이다. 최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말했다.

강제 상장 폐지 시나리오로 보면 중국 ADR과 MSCI 중국 지수는 현재보다 각각 9%, 4% 떨어질 수 있다고 골드만은 추정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현재 미국 기관투자자들이 보유한 중국 ADR은 전체의 26%에 해당하는 2500억 달러다. 또 미국 기관투자자들이 보유한 홍콩 상장주는 5220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16%다.

미국 투자자들이 홍콩 상장주와 중국 ADR을 처분하는 데는 각각 119일과 97일이 걸릴 수 있다고 골드만은 추산했다.

중국 기업의 ADR 강제 상폐가 현실화할 경우 최대 기술기업을 포함해 300개 가까운 기업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SCMP는 예상했다. 미중 경제안보검토위원회에 따르면 3월 7일 기준 뉴욕증권거래소(NYSE), 뉴욕증권거래소 아메리칸,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은 286개로 총 시가총액은 1조1000억 달러다.

하지만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은 그동안 상폐 위험을 헤지(회피)하기 위해 홍콩에 2차 상장을 추진하거나 이중 상장 상태로 전환했다고 SCMP는 지적했다.

알리바바는 미국에 상장된 최대 중국기업으로 시총 2570억달러 수준인데, 지난해 8월 이중상장 전환을 완료해 중국 본토 투자자들이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알리바바 주식이 뉴욕에서 상장 폐지되더라도 홍콩 주식으로 전환돼 휴지조각이 되는 일을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미국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개는 홍콩에 2차 또는 이중 주식을 상장할 수 있는 자격을 갖췄다. 자격을 갖춘 중국 기업에는 테무 모기업 판둬둬를 포함한 27개로 시총은 1840억 달러 수준이다.

이에 중국 기업의 뉴욕증시 퇴출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 자본시장에 주는 선물이 될 수 있다는 기대까지 나왔다. 홍콩 성도일보는 15일 사설에서 "미국이 중국 주식을 홍콩으로 돌려 보내려고 하는 것은 좋은 일"이라며 미국을 이탈한 중국 주식을 잡기 위해 홍콩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주문했다.

shinkir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