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르신 유치원 운영, 월 3천만원 버는 30대…"수입 공개 후 욕 바가지"

본문 이미지 - (유튜브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 갈무리)
(유튜브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 갈무리)

(서울=뉴스1) 신초롱 기자 =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는 30대 청년이 수입을 공개한 뒤 악플을 받았다고 밝혔다.

6일 유튜브 채널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에는 '할아버지 할머니 유치원 만들고 월 3000만 버는 36살 사장님'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운영하는 신승준 씨(36)의 하루가 공개됐다. 센터에서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경증, 중증 치매가 있는 어르신들을 돌본다.

해당 채널을 통해 수입을 공개한 바 있는 그는 "굉장히 욕을 많이 먹었다. 할머니 할아버지 팔아서 돈 번다, 사회복지 하는 사람이 뭐 이렇게 돈을 많이 벌어도 되냐, 저희 어머니한테도 전화해서 너희 아들 나왔는데 이래서 되겠냐, 아들을 잘못 키웠네 등 막 되게 충격이었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그동안의) 과정이 생략되고 결과만 이야기하는 유튜브이지 않나. 아니, 그러면 좋은 일 하면서 가난하게 살아야 하냐"라고 반문했다.

1호점에 이어 2호점을 열고 난 뒤 수익 변화에 대해 신 대표는 "어떤 사업이든 손익분기라는 게 존재하지 않나. 아직 2호점은 6개월 됐는데 손익분기점을 이제 넘었다. 그전에는 생돈이 들어갔다"라고 털어놨다.

수익 구조에 대해서는 "85%를 국가 사회보험으로 하고, 15% 정도를 개인이 낸다. 하루에 4등급 어르신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데, 70명이 온다고 하면 하루 수입은 390만 원 정도다. 직원도 많고 부대비용이 많이 들어간다. 다 빼고 남는 수익은 20%가 좀 안 될 거다"라고 전했다.

본문 이미지 - (유튜브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 갈무리)
(유튜브 '탐구생활 - 돈이 되는 삶의 이야기' 갈무리)

신 대표는 센터를 운영하며 힘들었던 점에 대해 "가장 힘들었던 게 결국에는 직원 문제였다. 50~60대를 채용해서 그분들과 같이 일을 해야 하는 거다. 저보다는 나이와 인생의 경험도 훨씬 많으시고 저희 어머니 같은 분들을 뽑아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굉장히 많이 겪었다"라고 털어놨다.

제작진은 "원하는 일을 하면서 돈까지 잘 벌기가 쉽지 않다. 노하우가 있을 것 같다"라는 말에 "저는 대표이기도 하지만 서비스 제공자다. 고객이 좋아하는 서비스를 계속 만들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할지 고민하는 게 되게 중요하다"라고 했다.

이어 "맞으면서 배웠다. 비싼 수험료 내고 이걸 이겨내니까 결국에 됐던 거 같다. 10년 전 개원했을 때는 경쟁력이 크지 않았다. 무작정 노인정 찾아다니고 복지관 앞에서 휴지랑 막 나눠드리고 맨땅에 헤딩했다"라며 그간의 과정을 떠올렸다.

예비 창업자들에게는 "복지 마인드와 사업자 마인드가 동시에 있어야 성공할 수 있지 하나라도 부족한 상황이면 안 된다. 주간보호센터는 초기 투자 비용이 굉장히 높다. 시니어 산업이 대세고 경쟁도 안 세고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가 망하는 분들도 많이 봤다"라고 전했다.

rong@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