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천=뉴스1) 김기성 기자 =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의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윤 대통령의 대리인을 자처한 이들의 발언이 엇갈리면서 때아닌 '찐윤'(진짜 친 윤석열)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공수처에 선임계를 낸 윤갑근 변호사와 윤 대통령의 40년지기로 알려진 석동현 변호사가 그간 윤 대통령의 입을 담당했다.
여기에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14일 '제3의 장소'에서 조사를 받을 수 있다고 윤 대통령 수사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했다. 하지만 윤 변호사는 사전에 상의한 내용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정 실장은 이날 오전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공수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공성전 채비를 끝냈고 언제든 성벽을 허물고, 한남동 관저에 고립돼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게 수갑을 채워 끌고 나가려고 한다"면서 "대통령실은 경찰 공수처와 협의할 준비가 돼 있다. 대통령에 대한 제3의 장소에서 조사 또는 방문 조사 등을 모두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윤 변호사는 <뉴스1>과 통화에서 정 실장의 대국민담화와 관련해 "대국민 호소문을 아직 보지 않았다. 정 비서실장과 사전에 상의한 것이 없다"고 말했다.
윤 변호사는 윤 대통령의 법률대리인 자격으로 지난 12일 공수처에 선임계를 제출했다. 이후 입장문을 통해 "현재 상태에서 대통령의 입장을 듣거나 추가 증거확보를 위한 조사가 필요치 않아 체포영장을 집행할 필요성은 전혀 없다"면서 "공수처가 불법·무효인 체포영장 집행만을 고집하는 것은 단순히 대통령에 대한 망신 주기의 목적에서 무리한 소환을 강행하고자 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라며 사실상 공수처 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 실장과 윤 변호사는 윤 대통령이 체포되는 것만큼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은 일치한다. 다만 정 실장이 '제3의장소' 비공개 조사를 언급하며 공수처의 조사에 응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는 점에서 기존 윤 변호사 입장과는 온도 차가 느껴진다.
윤 대통령을 대리 또는 대변하는 인사들의 발언이 엇갈린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윤 변호사가 선임계를 내고 공수처와 면담에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이 진행 중이고 체포 시 방어권과 국정 운영에 어려움이 있으니 체포영장 집행을 미뤄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이에 공수처는 영장 집행 연기요청은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와 관련해 석동현 변호사는 전날(13일) "체포영장 집행 중지에 대해 공수처에 직접 의견을 전달한 것이 있냐"는 질문에 "어제 변호인단이 공수처를 방문해서 탄핵심판절차에 임할 수 있도록 이 수사를 유보해달라 정식으로 요청했다"고 답했다.
이에 기자들이 영장 집행 유보를 공식 요청했는지 재차 묻자 "체포 집행을 할 필요가 없지 않냐는 점에서 영장 집행을 하지 말아달라 뜻에 더 방점이 있지 않겠냐"며 말꼬리를 흐렸다. 선임계를 제출한 윤 변호사와 원활한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는 지점이다.
석 변호사는 현재 자신이 속한 법무법인 동진 사무실을 나와 사비까지 털어 개인 사무실을 구해 내외신 기자회견을 자처하고 있다.
석 변호사는 선임계도 내지 않고 사비까지 쓰는 이유와 공보를 맡은 윤갑근 변호사가 있음에도 거듭 회견을 자처하는 이유를 묻는 <뉴스1> 질문에 "선임계는 안 냈지만 법률적으로 조력하는 입장이고 더 한 걸 들여서라도 할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며 "사안이 워낙 중하고 공보팀이 취재가 몰리는 상황을 못 쫓아가는 상황에서 보조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goldenseagul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