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정부가 내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동결하고 대학들은 수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엔 학칙대로 유급 처리하겠다며 압박 수위를 높여가자 의대생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아직 상당수 의대생이 수업을 거부하며 복귀 움직임이 뚜렷하진 않은 상황이다. 다만 교육부가 우선 모집인원을 확정해 준 만큼 수업 참여 여부를 이제는 개인이 자유롭게 선택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점 늘어나는 모습이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가톨릭대 26일, 경북대·계명대·영남대 28일, 충북대 29일, 동국대 30일 등 각 대학의 유급 시한이 속속 다가오고 있다.
대학들은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유급 처리하겠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대학별로 총 수업일수가 다르긴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이 수업일수의 3분의 1 혹은 4분의 1 이상 결석하면 학칙에 따라 F 학점을 부여하고 유급 처리한다. 의대는 한 과목만 F 학점이면 유급되기 때문이다. 유급이 최소 2회에서 많게는 4회 누적되면 제적될 수 있다.
교육부가 모집인원 동결이라는 '마지막 카드'까지 꺼낸 만큼,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유급되지 않으려면 수업 참여 여부는 이제 개인이 자율적으로 선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는 분위기다.
서울의 한 사립대 의대 24학번 A 씨는 "정원이 증원 전으로 돌아갔으니 교육부도 더이상 해줄 수 있는 게 없다고 본다"며 "유급에 대한 책임도 결국 본인이 지는 것이니, 수업 참여 여부도 이제는 각자 결정해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로 되돌리는 데 대해 정부 부처 내 이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책임지고 이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지자, 의대생 사이에서도 점차 이견이 생기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의정갈등 발발 이후 처음으로 의대생과 공식 만남을 가진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이 참여하는 의학교육위원회를 운영하고 향후 의료계와의 신뢰 회복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 부총리는 전날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대한의료정책학교 주최 의대생 간담회에서 "의학교육 발전을 위한 의견을 적극 수렴하기 위해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겠다"며 "교수를 비롯한 의학교육 전문가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참여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의대생 졸업시기와 국가고시에 관해서는 "졸업시기 국가시험 및 전공의 모집 일정 유연화, 전공의 정원 배정 및 선발과 수련 유연화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rea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