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건축 착공 면적, 3년 만에 상승세…전년比 4.8% 증가

2024년 전체 면적 7930만㎡…예년 70~80% 수준

서울시내 한 아파트단지 공사현장. 2025.2.18/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시내 한 아파트단지 공사현장. 2025.2.18/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지난해 건축 착공 면적이 전년 대비 5%가량 오르며 3년 만에 상승세를 기록했다.

3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4년 건축 착공 면적은 7930만㎡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다.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6.8% 늘어난 2690만㎡로 집계됐으며 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5240만㎡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비주거용 착공 면적의 경우 공업용과 기타 분야가 각각 9.2%·24.8% 증가했으나, 상업용과 교육·사회용이 10.1%·16.8% 감소했다.

다만 건축 착공 규모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이는 예년의 70~80% 수준에 불과하다.

주거용 착공 면적의 경우 2001~2023년 평균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 3800만㎡와 비교하면 예년의 70% 수준이다.

비주거용 착공 면적도 예년(2001~2023년 평균 6600만㎡)과 비교하면 80%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수도권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4.2% 증가한 3580만㎡였다. 그중 수도권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9.4% 증가한 1170만㎡다. 서울은 전년 대비 3.5% 감소했지만, 경기도가 0.1%, 인천이 64.6% 늘어났다.

수도권의 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1.9% 증가한 2410만㎡를 기록했다. 서울은 13.3% 감소해 부진했지만, 경기도와 인천이 각각 5.1%, 13.5%씩 증가해 양호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지방의 건축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5.3% 늘어난 4350만㎡로 집계됐다. 주거용은 4.9% 증가한 1515만㎡, 비주거용은 5.5% 늘어난 2838만㎡를 기록했다.

박한철 연구위원은 "건축공사 착공이 감소한 지역은 7곳으로, 광주를 제외하고 대부분 2~3년 이상 착공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간 건축 착공이 감소한 지역일수록 건설경기가 심각한 지역으로 판단되며, 진행 중인 공사 물량이 올해뿐만 아니라 내년까지 감소할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