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와 C노선의 착공이 지연되는 가운데, 정부가 민간 사업자의 사업 포기 시 재정사업으로 전환해 사업을 이어가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국가철도공단 등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GTX-B·C 사업시행자가 금융 여건 등으로 사업 포기 시 재정사업으로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GTX-B노선은 인천 송도와 남양주 마석을 연결하는 총길이 82.8㎞, C노선은 양주(덕정역)와 수원(수원역)을 잇는 연장 86.46㎞ 노선이다.
당초 이들 구간은 민간이 시설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수익형 민자사업(BTO) 및 재정구간과 BTO가 혼합된 방식으로 계획됐다.
지난해 초에는 착공식까지 진행했으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태 여파로 인한 자금 조달 차질과 공사비 문제로 1년이 넘도록 첫삽도 뜨지 못했다.
여전히 전망은 좋지 않다. B노선의 경우 건설투자자(CI) 중 하나인 DL이앤씨(375500)가 탈퇴를 선언했고, 현대건설(000720)도 지분 일부를 반납하기로 했다. 양사가 보유한 시공 지분 17.5%며, 대체사를 찾은 후에나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C노선의 상황은 더 막막하다. 최근 대표사인 현대건설에 CI들이 집단 탈퇴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정과 달리 GTX 착공이 지지부진하자 결국 꺼내든 것이 재정사업 전환이다. 재정사업은 정부가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는 방식으로, 서울의 위례신사선도 같은 절차를 밟고 있다.
다만 이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야 해 1~2년 사업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현재 시행자가 사업 포기 시 재정 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재정사업 전환은 아직 검토해본 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부의 입장은 사업을 가급적 빠르게 예정된 일정대로 추진하는 것"이라며 "아직 재정사업 전환에 대해서는 검토해 본 바가 없다"고 설명했다.
wns83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