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동학개미' 연대감…"정치 관두면 99% 복귀"

조선주 매입 경험 소개 "의원 되는 바람에 팔았는데 3배 올라"…울상
"종목수 세계 5위인데 시총 15위…PBR 저평가 기업 반드시 솎아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저도 꽤 큰 개미 중 하나다. 정치를 그만두면 주식 시장으로 돌아갈 가능성은 99%다. 주가지수 5000 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21일 '동학 개미'의 표심을 잡기 위해 한국금융투자협회를 찾았다. 이 후보는 현장에서 이같이 말하며 한국 증시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직접적으로 표했다. 그러면서 상법 개정안 재추진 등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고 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 국내 17곳의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함께 한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 자리에서였다.

이 후보는 한국 증시의 현 상황을 두고 "대한민국 자산 시장이 부동산 중심"이라며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자본시장이 비정상적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황당한 유머까지 생겼다"고 꼬집었다.

스스로를 '개미'라 칭한 그는 대선 이후 투자 경험을 공유하면서 한국 증시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표했다.

그는 "대선에 떨어져서 상당 기간 정치를 안 할 것 같아 나름 연구해 조선주를 샀다"면서도 "국회의원 되는 바람에 (팔았는데) 지금은 3배가 올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무산된 상법 개정안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는 "상법 개정안은 우리가 무슨 특별한 제도를 만드는 게 아니다"라며 "일상적으로 평균적 수준에서 필요한, 다른 나라들도 다 하는 정상적인 기업 지배 구조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와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와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그는 한국 증시의 종목 정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 증시와 관련해 "종목 수는 세계 5위인데 시가총액은 15위"라며 "이는 실제 가치가 거의 없는 종목이 많다는 함의가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주식시장의 PBR(주가순자산비율) 저평가 기업에 대해 "시장 물을 흐리는 것은 반드시 정리해야 한다. 솎아내야 한다"며 "PBR 0.1이면 이론적으로 10배 넘는 장사를 하는 것 아니냐. M&A를 하든지 해서 청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그는 배당소득세 조정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의견을 표출했다. 그는 "배당 소득세를 조정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며 "세수 감소를 감당할 만큼 정말 배당을 늘리는 데 긍정적일지는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배당소득세 완화가 배당을 늘리는 결과가 될지, 특정 소수가 혜택만 보고 세수 감소 효과를 빚게 될지 정확히 예측이 안 되는 상황"이라며 "배당소득세를 줄이는 게 배당 성향을 올리고 국가 세수에 크게 타격을 안 주는 것으로 확인되면 배당소득세를 내려야 한다"고 했다.

mine124@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