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영삼 전 대통령 상도동 자택 '국가문화유산' 등록 추진

'상도동계' 민주 정치 산실…가택연금·초산테러 역사
김영삼재단, 작년 말 동작구청장 면담…등록 절차 개시

본문 이미지 - 서울 동작구 상도동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사저. 2015.11.24/뉴스1 ⓒ News1 양동욱 기자
서울 동작구 상도동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 사저. 2015.11.24/뉴스1 ⓒ News1 양동욱 기자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울 동작구 상도동 자택이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할 때까지 46년간 거주한 상도동 자택은 전두환 정권에 의한 가택연금,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초산 테러 등 김 전 대통령의 정치 역정을 품은 공간이다.

6일 서울시와 동작구청에 따르면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은 김 전 대통령의 상도동 자택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기 위한 검토를 시작했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지난해 12월 재단 요청에 따라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논의하기 위해 재단 관계자들과 면담했다. 동작구는 재단에 등록 절차를 안내하고 신청 양식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단 관계자는 "상도동 자택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며 "검토 내용을 유족 측에 전달했고 가족 간 회의를 거칠 것"이라고 말했다.

상도동 자택은 김 전 대통령이 1969년부터 2015년생을 마칠 때까지 46년간 거주한 장소다. 1969년 신민당 원내총무였던 김 전 대통령에게 부친이 마련해줬다.

같은 해 박정희 전 대통령의 3선 개헌 반대 투쟁을 하던 김 전 대통령이 귀가하다 괴한에게 초산 테러를 당한 사건도 이곳에서의 일이다.

김 전 대통령은 1980년과 1982년 전두환 정권에 맞서다 상도동 자택에 두 차례 가택연금되기도 했다. 5·18광주민주화운동 3주년 때는 이곳에서 23일간 단식투쟁을 벌였다.

상도동 자택은 민주화 운동이 정점에 달했던 1980년대 정치인과 언론인, 시민이 모여들던 사랑방 역할을 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계'와 같이 '상도동계' 정치인 다수를 이곳에서 배출했다.

본문 이미지 -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서울 상도동 김영삼 전 대통령 자택에서 김 전 대통령을 예방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 씨, 김영삼 전 대통령,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 2012.8.22/뉴스1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서울 상도동 김영삼 전 대통령 자택에서 김 전 대통령을 예방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 전 대통령 차남 김현철 씨, 김영삼 전 대통령,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대선후보. 2012.8.22/뉴스1

민주화 투쟁 주역들은 매일 이곳에서 정치 현안을 논의했다. 내외신 기자회견이 열리기도 했다. 손명순 여사가 아침마다 상도동을 찾는 손님을 위해 100인분에 달하는 된장국을 준비한 일화는 유명하다.

2011년 김 전 대통령은 상도동 자택을 사단법인 김영삼민주센터에 기증했지만 센터 재정난에 따라 매각을 추진했다. 그러나 역사적 상징성을 고려해 김 전 대통령 장손인 김성민 씨 명의로 2017년 유가족이 다시 매입했고 현재까지 소유 중이다.

국가등록문화유산은 근현대문화유산법에 따라 통상 개항기 전후 형성된 문화유산 중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50년 이상 건축물·공예품 등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한다. 다만 문화유산법에 의해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문서·무덤·궁터 등은 제외하며 50년 미만이라도 긴급 보존이 필요할 때는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이 가능하다.

상도동 자택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지정을 위해선 서울시가 문화유산 위원회를 통해 사전 심의 후 국가유산청에 신청하는 절차를 밟는다. 이후 국가유산청이 자체 심의한 결과에 따라 최종 지정 고시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동작구를 통해 신청서를 접수하게 되면 시 문화유산위원회 위원들의 행정 절차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도 국가등록문화유산 추진에 나섰지만 서울시 단계를 넘지 못하고 보류됐다. 사저가 철거됐다가 2000년 다시 지어지면서 50년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이유인데, 시는 건축물이 아닌 집터를 기준으로 신청을 받아 재검토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7일엔 김 전 대통령 부인이자 정치 동반자였던 고(故) 손명순 여사 1주기를 맞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추모식이 열린다.

김영삼 정부 당시 국무총리를 지낸 이수성 전 관정 이종환 교육재단 이사장, 대통령비서실 제2부속실장을 맡았던 정병국 한국문화예술위원장,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 등이 참석한다.

b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