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여·야·정 대표가 한자리에 모여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입장차를 좁히지는 못했다. 공이 실무협의로 넘어간 만큼 추후 진행될 협의에서 추경 편성에 대한 여야 간 이견이 좁혀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20일 오후 5시부터 약 2시간 동안 추경을 포함해 각종 현안에 대해 토론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여·야·정은 추경 편성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민생 지원 △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 지원 △통상 지원 등 세 가지 원칙에 기반해 구체적인 안을 실무협의체에서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국정협의체에서 구체적인 합의안을 내놓지는 못했지만, 큰 틀에서 실무협의를 통해 논의하기로 한 원칙을 정하면서 합의점을 찾는데 한발 나아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이 여전히 올해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 민주당이 단독 감액 처리한 것을 두고 재논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이를 포함해 구체적인 항목을 실무협의체에서 진행하자고 제안한 상황이다.
아울러 민주당이 주장하는 전 국민 1인당 25만 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해서는 권 비대위원장이 "현금성 예산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지만, 이 또한 큰 걸림돌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대표는 국민의힘 측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해당 사업 재원을 일자리 창출과 창업 지원에 쓸 수 있다고 한발 물러선 바 있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표는 다음 날인 21일에도 국민의힘에 추경 합의를 압박하면서 합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이 대표는 이날 "국정협의회 논의의 성과는 추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추경 논의에) 포지티브하게, 능동적으로 나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민의힘도 "민생 문제를 고려해 (국정협의체에서) 추경 필요성이 있는 부분은 공감했다"고 한 만큼 실무협의에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kha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