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애인 문화예술향유 전방위로 돕는다…창작·관람·교육 '맞춤형'

본문 이미지 -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이 문화예술의 관객을 넘어 주체적인 참여자이자 창작자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창작, 관람, 교육 3개 분야에 걸쳐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문화시민 으로서 장애인의 문화예술향유권을 보장하고, 동행매력특별시 시정철학 아래 모두가 함께하는 포용적 문화도시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창작지원 분야는 △장애 예술인 창작활성화 지원사업 △장애인 공연예술활성화 지원사업을 통해 장애 예술인과 단체, 장애인 극단, 인식개선 공연 단체 등에 18억 원 규모의 창작지원금을 지원한다.

단체·개인당 2000만~5000만 원의 규모로 신작 발표나 문화접근성 개선 콘텐츠 제작 등을 돕는다. 이외에 장애인·소외계층 문화활성화 지원사업을 추진, 장애인 및 소외계층 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사업에 소요되는 직접 경비의 일부도 지원한다.

관람지원 사업도 활발하다. 장애인들이 공연·전시·축제 등 다양한 문화예술을 현장에서 누리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돕는다. 대표적으로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학생 박물관·미술관 관람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며, 서울역사박물관은 배리어프리 영화관, 동행프로그램 박물관 나들이를 운영한다.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서커스페스티벌 등 대표 축제 공간 내 장애인 관객 접근성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장애인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장애청소년 미술교육 지원사업과 찾아오는 퍼블릭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은 발달장애, 신체장애인 연주자 등 장애를 극복하고 음악 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는 연주자들과 협연하는 '행복한 음악회, 함께!', '아주 특별한 콘서트' 등을 개최하고 있다.

마채숙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는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필수적인 권리 보장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동행매력특별시의 시정 철학 아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포용적 문화도시 서울'을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ung9079@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