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행정안전부는 19일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월 15일~10월 15일)에 앞서 사전 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행안부를 비롯해 교육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기상청 등 중앙부처와 17개 시도, 국립공원공단, 한국수자원공사 등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정부는 지난 1일부터 여름철 자연재난 사전대비를 시작했으며 이번 회의를 통해 주요 재난 유형별 대응책을 점검했다.
특히 산사태, 하천 재해, 지하공간 침수 등 3대 인명피해 유형과 관련한 위험지역 및 시설물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과거 피해 사례를 반영해 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올해 이·통장 및 자율방재단이 직접 마을 단위 위험 요소를 점검하는 '우리동네 풍수해 안전망' 사업을 추진한다. 전국 3317개 위험 요소를 발굴해 550여 개를 우선 정비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특별교부세 180억 원이 지원된다.
위험기상에 대비한 주민 대피·통제체계도 강화된다. 위험기상정보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민 대피 기준을 새롭게 정비하고, 이에 따른 대피 훈련과 교육을 병행한다.
위험 발생 시 경찰, 읍·면·동 공무원, 이·통장, 자율방재단 등 민관이 협력해 신속한 대피를 지원할 방침이다. 실제로 지난해 경북 안동에서는 마을 순찰대가 치매 노인과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주민 19명을 안전하게 대피시킨 사례가 있다.
행안부는 '여름철 사전대비 추진상황 점검 TF'를 구성해 기관별 추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4월 말까지 대응 취약 요소를 보완할 계획이다.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