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전북지역 출생아 수가 반등 추세로 돌아섰다.
20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14개 시·군 출생아 수는 전년(2023년) 6692명 대비 205명 증가(3.06%)한 6897명으로 집계됐다. 이번 출생아 수 반등은 2012년 이후 12년 만이다. 14개 시·군 중 9개 지역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무주군이 2023년 43명에서 2024년 62명으로 19명(44.19%)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완주군은 411명에서 548명으로 137명(33.33%), 순창군 79명에서 98명으로 19명(24.05%)이 늘었다.
이밖에 고창군 32명(23.36%), 부안군 23명(17.69%), 남원시 22명(8.66%), 익산시 57명(6.18%), 정읍시 19명(5.64%), 군산시 17명(1.73%)으로 출생아 수가 늘어났다.
전북도는 이번 출생률 반등이 코로나19 이후 결혼·출산 증가라는 전국적 추세와 함께 출산장려금 확대, 난임 진단비 및 전북형 난임 시술비 추가 지원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인구 정책이 결합된 결과로 평가하고 있다.

완주군은 지난해 출산장려금을 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대폭 확대했고 무주군은 임산부 건강 지원사업, 출생아 첫 통장 지원사업 등을 시행 중이다. 순창군은 아동행복수당 확대 등 특화된 지원책을 통해 긍정적 성과를 이끌어 냈다.
전북자치도는 지난해 11월 ‘전북청년 희망 High, 아이 Hi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저출생 문제 해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결혼‧출산‧육아 환경 개선을 목표로 △‘반할 주택’ 500호 공급 △청년 일자리 확대 △웨딩 비용 부담 경감 △어린이집 필요경비 전액 지원(전국 최초) △24시간 보육체계 구축 등을 포함하고 있다.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청년 세대가 안심하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천영평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출생아 수 반등은 저출생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혁신적인 인구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인구 기반을 마련하고 모든 세대가 행복한 전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9125i1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