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 경기 고양시가 일산호수공원 내 북카페 조성사업 중단을 놓고 시의회와 집행부 간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고양시는 “지난 2023년부터 추진해 온 일산호수공원 내 ‘북카페 조성사업’이 시의회 예산 삭감에 따라 기약 없이 연기될 위기에 처했다”며 포문을 열었다.
고양시는 호수교 남단 하부 유휴공간을 활용해 시민들의 휴식과 독서 공간을 제공하는 북카페를 기획, 2023년 말 설계 예산 확보로 건축기획 용역과 설계공모를 거쳐 올 10월 준공을 목표로 실시설계가 약 90% 진행된 상황이다.
북카페는 지상 1층·연면적 약 240㎡ 규모로, 카페 기능과 함께 도서 공간을 결합해 독서 및 소규모 문화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시의회가 2025년 본예산과 올해 3월 열린 1회 추경에서 공사비 18억원 전액을 삭감하면서 차질이 발생했다.
시 관계자는 “의회에서 설계비는 승인하고 정작 공사비를 전액 삭감한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결정”이라며, “시민들이 누릴 수 있었던 문화적, 정서적 편익이 좌절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런 주장에 시의회도 반격에 나섰다.
최성원 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호수공원 북카페 사업 중단의 책임은 의회가 아닌 고양시”라며, “이동환 시장은 작은도서관을 폐관하고 호수공원 북카페를 추진하면서 발생한 혼란부터 정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지난 10월, 일산호수공원에 북카페 사업을 추진한다며 기능이 중복되는 호수공원 작은도서관을 폐쇄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나, 고양시의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호수공원 북카페에는 ‘도서 대여 기능’이 없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의회의 반발을 샀다.
최성원 의원에 따르면 2024년 5월 고양시에서 발주한 ‘일산호수공원 북카페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과업지시서’에는 ‘도서 대여’ 기능이 명확히 명시되어 있었지만 이후 시 도서관센터는 ‘도서 대여’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성원 의원은 “호수공원 북카페 신규사업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행정적 혼란을 일으킨 부분에 대해 명확히 정리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최성원 의원은 “이런 혼란이 발생한 이유는 애초에 명분 없는 작은도서관 폐관의 논리를 호수공원 북카페에서 찾다 보니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같은 논쟁 속에 고양시는 오는 9월 예정된 제2회 추경에서 공사비를 다시 확보할 계획이지만 예산이 통과되더라도 당초 계획보다 준공이 최소 1년 이상 지연될 전망이다.
dj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