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복지관 이전에 주민 반발…지자체 노력이 '님비' 풀었다

광주 광산구, 5차례 공청회와 대화…TF팀 회의만 28회
주민들 "시설 편견, 땅값 하락 오해 풀어" 마음 돌렸다

본문 이미지 - 광주 광산구 장애인 복지관 이전·신축을 위한 주민 사업 설명회. (광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 광산구 장애인 복지관 이전·신축을 위한 주민 사업 설명회. (광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스1) 이승현 기자 = 기피 시설로 분류되는 장애인 복지관 이전을 둘러싸고 빚어진 '님비 현상'을 해결한 지자체의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23일 광주 광산구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우산동에 위치한 광산구 장애인 복지관을 도천동 큰도랑지마을 인근(도천동 102-1번지)으로 이전·신축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루 평균 300여 명에 달하는 이용자에 비해 광주에서 가장 작은 규모의 복지관으로 주차 공간 부족, 야외 활동 부재 등의 한계가 있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부지는 과거 구에서 토지를 매입해 둔 곳인 데다 인구가 많은 첨단, 수완과 인접한 큰 도로가 있어 접근성이 높은 점 등이 장점으로 꼽히며 이전 부지로 선정됐다.

그러나 큰도랑지마을 60여 주민들은 장애인 복지관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사업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이른바 '내 집 앞은 안된다'는 님비 현상이 발생한 것.

구에서 사업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주관한 주민공청회에 대다수 주민들이 참석하지 않았고 일부는 공청회 도중 퇴장하는 등 갈등의 골은 깊어졌다.

광산구 공직자들은 시설에 대해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오해를 풀고 다음 공청회 일정 등을 알리기 위해 직접 40여가구를 돌아다녔다.

1주일 후 재차 열린 공청회에서는 부지가 택지개발사업 등에서 제외돼 개발 낙후 지역인 점을 토대로 복지관과 함께 개발 시 마을에 기반시설이 들어서는 점 등을 예시로 들며 주민 요구 사항을 반영하겠다며 설득을 이어갔다.

상당수 주민들이 참여해 난방유를 사용하는 마을에 도시가스 공급과 주차장·구내식당 등 복지관 일부 시설 이용, 우수관로 공사, 버스 노선 변경 등 실생활에 필요한 점을 요구하면서도 실제 반영될지 여부에 대한 의구심을 보였고 시설 반대 입장도 고수했다.

광산구는 5개 부서와 광산구 장애인복지관이 모인 행정 TF를 구성해 회의를 열고 요구 사항 실현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다음 공청회 때 주민들에게 피드백했다.

본문 이미지 - 이전·신축 사업 추진 중인 광주 광산구 장애인 복지관 조감도. (광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전·신축 사업 추진 중인 광주 광산구 장애인 복지관 조감도. (광산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예상을 빗나간 구의 적극적인 피드백과 요구 사항 수용, 공청회를 제외하고도 이어진 대화에 주민들의 반응은 조금씩 달라졌다.

3~4회차 공청회가 진행됐을 무렵 주민들은 무조건적인 반대를 접고 마을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으로 의견을 주고받았다.

주민들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복지관 주 출입구 방향을 변경하고 차량 통행이 많은 시간대에 안내 요원 배치 등은 마을 주민이 참여하는 노인일자리사업과 연계하기로 검토했다.

김종덕 마을 추진위원장은 "주민들이 편견으로 인해 처음에는 거부 반응이 있었지만 수차례 대화 등을 통해 시설이 기피 시설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됐다"며 "시설이 들어올 경우 땅값이 떨어진다는 것도 잘못된 생각이다. 환경 개선 사업 등으로 오히려 살기 편해지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도 주민 상당수가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3년부터 올해 1월까지 열린 주민공청회는 5차례, 행정 TF 회의는 28회에 달한다.

이러한 노력에 복지관 부지를 활용해 장애인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까지 추진된다는 소식이 알려져도 주민들은 반발하지 않았다.

님비 난관을 극복한 복지관 이전 사업은 5월 실시 설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다.

광산구는 이 시기 다시 한번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7~8월 복지관 착공에 들어갈 방침이다. 완공 예상 시기는 2027년 1월이다.

광산구 관계자는 "초창기에는 워낙 반대가 심해 사업에 관한 설명을 하기 어려웠다"며 "계속된 공청회와 대화를 통해 절차 진행 전 설명을 하고 요구사항이 있을 경우 최대한 빠르게 반영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pepper@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