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진상규명·명예회복 등 4·3 완전한 해결 위해 협력"

제77주년 제주4·3추념일을 하루 앞둔 2일 오후 제주4·3평화공원 위령제단에서 4·3희생자 위령제례가 봉행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제77주년 제주4·3추념일을 하루 앞둔 2일 오후 제주4·3평화공원 위령제단에서 4·3희생자 위령제례가 봉행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오현지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의회는 제주4·3사건 77주년을 하루 앞둔 2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와 연대해 진상규명, 명예 회복 등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4·3이 지금의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고 상생과 화해로 한반도 평화의 상징으로 이어지기를 염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광주시의회는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에서 벌어진 참혹한 4·3의 희생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아픈 비극 중 하나"라며 "이념을 떠나 무고한 주민들이 국가 폭력에 의해 희생된 참사"라고 규정했다.

이어 "제주도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가족을 잃었으며,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 살아야 했다"며 "그 진실을 바로 세우고 기억하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다"고 강조했다.

광주시의회는 "최근 12·3 비상계엄에 적극 가담한 방첩사령부가 작성한 문건에 4·3을 '제주폭동'으로 기재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아직도 증오와 적대를 조장하는 세력이 4·3의 진실을 외면하고 왜곡되고 편향된 시각으로 국민을 분열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광주시의회는 "4·3은 국가 폭력에 의해 자행된 민간인 학살이다"며 "이를 폭동으로 규정하는 것은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아픔을 모독하고 명예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도민들은 지난 77년의 깊은 상흔과 통곡의 세월 속에서도 인권과 평화를 외쳤고 그 가치는 오늘날까지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상징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4·3의 열망은 절대로 잠들지 않고 영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ofatejb@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