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차세대 전해질 개발 에너지 저장 장치 성능 혁신

고전압·비발화성·고효율 레독스 전해질 개발…상용화 기대

GIST 신소재공학과 엄태평 박사과정생, 유승준 교수(왼쪽부터)(지스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GIST 신소재공학과 엄태평 박사과정생, 유승준 교수(왼쪽부터)(지스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신소재공학과 유승준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는 브롬 기반 레독스 슈퍼커패시터(Redox EC)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충전 후 자연스럽게 방전되는 문제(자가 방전)로 인한 낮은 효율 문제를 해결하고, 기존 수계 전해질의 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GIST가 전했다.

슈퍼커패시터는 빠른 충전 속도와 긴 수명을 갖춘 미래형 에너지 저장 장치로 주목받고 있으니 낮은 에너지 밀도와 자가 방전 문제는 상용화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레독스 슈퍼커패시터는 전해질 내에서 일어나는 레독스 반응(산화-환원 반응)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전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돼 높은 에너지 밀도와 빠른 반응 속도를 동시에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충전 과정에서 생성된 폴리브로마이드가 전지 내부에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문제(교차확산 문제)로 인해 자가 방전이 발생하고, 충·방전 효율(쿨롱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전해질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가연성이 있어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TBAB)와 에틸렌글리콜(EG)을 조합하여 물이 포함된 '심층 공융 용매(HDES)' 전해질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TBAB의 소수성(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을 활용하여 브롬 기반 레독스 시스템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하고, 자가 방전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또 기존 연구에서 불안정성으로 인해 구현이 어려웠던 '물 함량이 높은'(DES-in-Water) 전해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부틸 바이올로젠 음극과 브롬 양극을 적용한 '이중 레독스 시스템 풀 셀(실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조립된 전지)'을 제작하여 장기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했다.

실험 결과 1.4V에서 36.3 Wh/㎏의 에너지 밀도를 기록하며 기존 슈퍼커패시터보다 월등히 높은 성능을 보였다. 또 1만회 이상의 충·방전 사이클 후에도 초기 용량의 87% 이상을 유지했으며, 60도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유승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이면서도 높은 안정성을 갖춘 차세대 전해질을 개발했다"며 "특히 기존 수계 및 유기 전해질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고 충·방전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유 교수가 주도하고 엄태평 박사과정생과 이건우 석사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3월 27일 온라인 게재됐다.

kanjoys@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