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뉴스1) 최창호 기자 = 포스텍은 24일 생명과학과 융합대학원 박상기·김태경·김민성 교수 연구팀이 조현병 원인과 발병과정의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뇌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신경줄기세포의 분열 방식이 교란된다는 점과 정상적인 뇌 발달에서 줄기세포가 균형 있게 분열하면서 뇌의 다양한 세포를 만들지만 'AS3MTd2d3'라는 변이가 있으면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확인했다.
'AS3MTd2d3'는 기존 유전자에서 특정 변이가 생긴 것을 말한다.
또 'AS3MTd2d3' 단백질이 신경줄기세포의 '중심체'라는 구조물에 비정상적으로 달라붙어 세포 분열 방향을 교란하는 사실도 알아냈다.
박상기 교수는 "조현병은 단순한 마음의 병이 아닌 태아가 유아기의 뇌 발달 과정에서 시작되는 생물학적 장애임이 증명됐다"며 "유전자 검사를 통한 고위험군의 조기 발견이나 AS3MT를 표적으로 한 약물 개발 등 조현병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실렸다.
choi11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