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시는 지난해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3만 165명으로 2009년 이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23년 1만 2912명 대비 2.3배(133.6%) 증가한 수치로, 코로나19 세계적 유행 이전에 의료관광객을 최대로 유치했던 2019년 1만 9748명보다 1.5배(52.7%) 증가한 실적이다.
시는 2026년까지 부산 의료관광객 3만 명을 유치하겠다는 목표를 조기에 달성했다.
부산은 2023년 대비 전국 유치순위가 상승(5위→3위)하며 비수도권 1위를 처음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부산, 제주, 인천, 대구 순으로 의료관광객이 많이 방문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적별 부산 의료관광객은 일본(24.3%), 대만(23.9%), 중국(11.8%), 러시아 (9.5%), 베트남(6.3%), 미국(5.2%) 순으로, 일본이 2년 연속 부산의료관광 방문 1위를 차지했다.
눈에 띄는 부분은 대만 의료관광객이 2023년 대비 1840%(372명→7219명) 급증한 점이다. 이어 일본 209%, 중국 117%, 몽골 110% 등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일본과 중화권의 피부과 방문 의료관광객과 몽골 건강검진 의료관광객 수가 늘어난 것이 주된 이유로 파악된다.
부산 의료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은 진료과는 피부과(40%), 성형외과(14.3%), 검진센터(11.2%), 내과통합(9%), 치과(5.7%)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성형 이용자 비중 상승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내과통합 비중은 2023년 대비 15.3% 감소하며 그 순위도 하락(1위→4위)했다.
일본과 대만에서 서면에 밀집한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찾으면서 구·군별로는 부산진구(60.4%), 해운대구(9.9%), 동구(6.7%), 서구(6.6%), 중구(6.1%) 순으로 의료관광객이 많았다.
전국 유일 대학병원 3곳과 종합병원 1곳이 있는 서구는 2023년 대비 방문자 수가 10% 감소했으나 부산 내과통합 이용자 38%가 서구를 방문하며 중증질환 부문에서 여전히 부산의료관광을 견인하고 있다.
시는 올해 국비 5억 원을 포함해 총 3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문인력과 국제의료 인증기관 양성 △총괄 안내(컨시어지) 서비스 지원(통역, 차량) △부산의료기술 홍보·마케팅 지원(12개 사) △상품개발과 인센티브 제공(7개 사) △치유(웰니스)·의료관광 체험단 초청 홍보 여행 △국내외 설명회와 홍보관 운영 등을 통해 타깃 시장 진료과별 마케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syw534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