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조아서 기자 = 10일 대전 서구 한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에서 40대 교사가 8세 학생을 흉기로 살해하는 참극이 벌어진 가운데 부산시교육청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방과후 학생안전대책을 발표했다.
부산시교육청은 전날 오후 10시 30분 최윤홍 교육감 권한대행 주재로 관련 부서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안전대책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의를 통해 부산교육청은 모든 초등학교에 오후 6시 이후 근무자를 2명 이상 확보해 방과후 이후에도 사전에 정한 학부모 또는 학원 차량에만 학생들을 안전하게 인도하기로 했다.
현재 부산지역 유치원은 오후 8시까지 근무자 2명이 배치돼 있고 초등학교도 오후 6시까지는 2명이 배치돼 있다. 하지만 오후 6시 이후에는 초등학교 대부분 한 명만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경우 오후 6시 이후에도 학생이 남아 있는 초등학교는 65곳으로 조사됐다.
시교육청은 오후 6시 이후 모든 초등학교에 근무자 2명을 배치하기 위해 추가 안전도우미를 뽑을 때까지 이날부터 교장이 지정하는 직원을 한 명 더 근무하도록 했으며, 빠른 시간 내에 안전도우미를 증원할 예정이다.
또 현재 늘봄전용학교와 일반학교 보살핌 늘봄교실에서만 활용하고 있는 알리미 시스템을 올해 상반기까지 모든 초등학교에 전면 도입한다. 알리미 시스템은 학생이 늘봄전용학교와 일반학교 보살핌 늘봄교실에 오고 갈 때 학부모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시교육청은 현재 시행 중인 늘봄 알리미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도 철저하게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 중인 힐링 프로그램도 대상을 확대한다. 예산 부족으로 지난해 힐링 프로그램을 신청한 교원 중 83%만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했지만, 올해는 추경 등으로 예산을 확보해 신청자 모두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으로는 교사 뿐만 아니라 돌봄전담사, 영어회화 전문강사, 스포츠 강사 등 학생을 직접 가르치거나 지도 또는 돌보는 사람도 힐링을 원할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최윤홍 교육감 권한대행은 "가장 안전한 학교에서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발생해 큰 충격을 받았고 대단히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번 대책도 완전하진 않지만 우선 시행하고,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대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말다.
ase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