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조아서 장광일 기자 = 28일 밤 발생한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합동감식이 미뤄졌다. 양쪽 날개에 저장된 항공유에 대한 안전성 조치를 우선적으로 실시한 후 진행될 전망이다.
강용학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조사단장은 30일 안전성 조사를 위한 화재 현장 확인 전 브리핑을 열고 "조사 과정에서 (항공유로 인해) 발화가 다시 일어나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어 현장 확인 후 합동감식 전 항공유를 기체에서 제거할지 논의할 예정"이라며 "항공유를 기체에서 빼내려면 급유할 때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경찰청, 부산소방재난본부 등 조사당국은 이날 오전 1시간 20분가량 종합사전 회의를 진행했다.
이 회의에서는 발화점과 화재 원인 등을 규명하기 위한 안전조치, 원인 조사 진행계획 등이 논의됐다.
조사당국은 화재 항공기인 BX391편에 연료 3만 5900lbs가 실려 있는 것을 고려, 사전 회의 직후 만일의 사고를 대비해 안전성 확보 여부를 중점으로 현장 실사에 나섰다.
화재 현장인 김해공항 주기장에 모인 조사당국 10여 명은 동체 윗부분이 불에 타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기체 인근에 서서 사고 현장을 살펴보며 기체 사진을 여러 각도에서 찍었다.
또 사고조사관과 흰 감식복을 입은 국과수 요원은 비행기 안팎을 오가며 기체 상태와 내부 상황을 자세히 관찰했다.

이들은 기체에 저장된 항공유가 열, 스파크, 화염에 의해 쉽게 점화될 경우 폭발 사고로 이어져 대형 화재와 독성가스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우선적으로 항공유를 처리·제거할지, 또 안전하게 수거할 방법은 무엇인지 지속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합동감식은 이날 입국하는 프랑스 사고조사당국(BEA)과 조율 후 오는 31일부터 본격적으로 실시될 전망이다. 사고 항공기는 에어버스 A321-200 기종으로, 에어버스는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
강 조사단장은 "제작국·설계국이 조사에 참여하도록 정하고 있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에 따라 추후 현장조사에는 프랑스 사고조사당국 10명도 투입될 예정"이라며 "이들은 이날 입국해 오후 3시 30분 김해공항에 도착한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에 대한 조치를 사전에 논의하고 감식 일정을 결정할 계획"이라며 "화재 원인 규명을 위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전날 사조위에서 회수한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에서 자료가 추출됐는지 여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ase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