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성=뉴스1) 강미영 기자 = 경남 고성군이 모든 연령층을 아우르는 맞춤형 복지를 강화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25일 군에 따르면 올해부터 일상돌봄사업 대상을 긴급가구까지 확대해 가사 돌봄과 병원 동행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긴급한 돌봄 공백 해소를 위해 중앙정부보다 먼저 긴급 SOS센터를 운영하기도 했다.
생활지원사는 어르신 가정에 직접 방문해 일상생활에 도움 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 활동 지원사업에는 예산 38억 원,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아이돌봄 서비스는 14억 5600만 원을 투입한다.
저소득 한부모 가정을 위한 아동양육비는 월 23만 원으로 인상하고, 자립지원사업을 통해 난방연료비와 방과후자녀학습비를 지원한다.
저소득층 생활 안정을 위한 기초생활보장수급자 기준도 올랐다.
군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기준 중위소득을 2015년 이후 최대 폭인 6.42%로 인상하고 생계급여비를 4인 가구 기준 11만 8000원으로 인상한다.
또 부양의무자 예외기준을 기존 연 소득 1억 원 또는 일반재산 9억 원 초과에서 연 소득 1억 3000만 원 또는 일반재산 12억 원 초과로 완화해 최저 생계 보장을 도모한다.
지난 2021년 여성친화도시로 지정된 군은 오는 2026년 여성친화도시 연속 지정을 목표한다.
먼저 오는 3월에는 고성군가족센터가 이전 개소한다. 이곳은 공동육아나눔터와 다함께돌봄센터가 설치돼 다문화·한부모·조손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위한 복한공간으로 운영된다.
옛 고성군가족센터는 여성친화거점공간으로 탈바꿈해 여성의 사회 참여와 소모임 활성화, 폭력 피해 여성 회복 등을 지원한다.

장애인 생활 안정과 사회 참여 지원사업에는 38억 8000만 원을 투입한다. 장애인일자리사업은 전년 대비 14명이 증가한 69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장애인 일상 회복을 돕는 군장애인복지센터는 올해 처음으로 수중 재활운동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라나는 청소년을 위해서는 진로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맞춤형 진로교육을 강화한다. 또 2021년 전국 최초로 도입한 청소년 꿈키움 바우처 지원사업은 매년 17억 원을 들여 2029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만큼 어르신의 안정적인 소득 보장과 노후생활을 위한 경로당 운영 활성화 정책도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도내 최초로 경로당 부식비를 지원한다. 연간 60만 원의 부식비 지원으로 공동 급식 경제적 부담은 낮추고, 어르신 영양 불균형 문제는 해결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군 복지정책은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군민이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촘촘히 설계했다"며 "앞으로도 군민 삶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들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myk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