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군, 생활환경·식품 방사능 안전검사 허용 기준 '만족'

지난해 164건 환경시료 방사능분석

본문 이미지 - 정종복 기장군수가 기장수협에서 방사능 측정장비를 시연하고 있다.(기장군청 제공)
정종복 기장군수가 기장수협에서 방사능 측정장비를 시연하고 있다.(기장군청 제공)

(부산=뉴스1) 조아서 기자 = 부산 기장군은 군 생활환경과 식품 등에서 측정한 환경시료의 방사능분석 결과 모두 허용 기준을 만족했다고 16일 밝혔다.

군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에 적극 대응하고자 2023년 6월부터 방사능재난 대비 자체 보유 중인 방사능 핵종 분석기를 활용해 학교, 기장수협 위판장 등에 측정기를 무상 임대 설치하고 상시 환경방사능 감시 체계를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또 개별 기관에서 측정한 환경방사능 시료는 국립부경대 방사선과학기술연구소를 통해서 월 2회 이상 교차(검증) 분석을 거쳐 측정 결과에 대한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다.

군은 지난해 △7개 학교의 급식 식자재 71건 △기장수협 위판수산물 9건 △지역특산품(미역, 다시마, 멸치 등) 24건 △바다 연안 해수 3개 정점에서 60건의 해수를 채취하고 방사능분석을 수행하는 등 총 164건의 시료에서 삼중수소와 방사성세슘, 방사성요오드 핵종을 중점적으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 삼중수소와 방사성세슘(Cs-134), 방사성요오드(I-131) 핵종은 모두 검출하한치 미만으로 불검출 됐다. 또 해수시료에서는 방사성세슘(Cs-137)이 극미량(0.000104~0.00207 Bq/L) 검출됐으나, 이는 전 지구 바닷물에서 측정되고 있는 농도(0.000794~0.00193 Bq/L) 수준으로 1950~1960년대 강대국의 핵무기 실험에 의한 잔존물로 평가된다.

이러한 적극 대응으로 군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오염수의 해양 방류에 따른 지역 환경에 미치는 방사능 영향은 전혀 없음이 과학적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군은 객관적 데이터를 꾸준히 축적하면서 지역 농수산물 등에 대한 안전성을 대내외적으로 홍보해 방사능 문제로 인한 공포와 사회적 이슈, 소비 위축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부터 해수 시료 중 항골성 핵종인 방사성스트론튬(Sr-90) 분석을 추가하고, 지역 학교 급식 식자재 방사능 검사 참여 학교 수를 늘릴 예정이다.

정종복 기장군수는 "지역에서 생산·유통되는 특산품과 수산물의 방사능 검사는 생산자, 판매자, 소비자 모두에게 방사능으로부터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aseo@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