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스미싱 등 악성문자를 발송 단계에서 사전 차단하는 악성문자 사전차단 서비스(X-ray)가 9일 오전 9시부터 시범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디지털 민생 안전을 위해 수립한 '불법스팸 방지 종합 대책'의 일환으로 X-ray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X-ray 서비스는 문자발송 이용자가 문자판매사에 문자 발송을 요청하면, 문자판매사는 요청받은 문자의 스미싱 여부를 확인한다. 결과를 회신받은 문자판매사는 정상 문자만 수신자에게 발송한다.
지금까지는 악성문자가 대량 발송된 후 수신자가 악성문자로 의심해 KISA에 신고하면 악성 여부를 판단해 발신번호 및 인터넷주소(URL)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대응체계가 운영됐다.
그러나 이미 대량으로 악성문자가 발송됐고 이를 수신한 모든 국민들이 신고, 판단, 조치 등 일련의 대응절차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일부 국민들은 실수로 악성문자를 클릭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재산적 피해를 보게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
X-ray 시범 서비스는 그동안 KISA가 '스미싱 확인서비스' 운영으로 얻은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해 문자판매사 에스엠티엔티에서 먼저 도입·적용하기로 했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악성문자 X-ray 서비스 시범 운영은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디지털 범죄에 대응하는 좋은 선례를 만드는 것"이라며 "국민들이 스미싱 등 악성문자로 인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악성문자 차단 서비스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디지털 민생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