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저출생 대응을 위해 노사가 협력해 유연한 근무 환경을 확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기존의 육아휴직를 넘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3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여성정책연구원과 공동으로 '저출생 대응을 위한 노사협력 방안 모색 공동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발제를 맡은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여성 고용률 제고와 저출생 대응을 위해 근로 시간 형태의 다양화와 유연근무제 확대가 핵심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구미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본부장은 "육아휴직 외에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이나 유연근무제 등 근로자 생애주기 및 사업장별 특성에 맞는 방안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노사협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노사 역할의 중요성과 협력 확대 방향에 대한 의견이 제시됐다.
이지만 연세대 교수는 "선진국처럼 노·사가 자율적으로 일·육아 병행 방법을 설계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조성하고, 대체인력 채용이나 동료 업무 과중 등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현장의 수용성을 고려해 제도의 무분별한 확대보다는 현행 제도의 실질적 안착을 위해 노사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경영계는 저출생 대응을 위한 책임 있는 사회 주체로서 일·생활 균형을 실현할 수 있는 근무 환경 조성과 가족 친화적인 기업문화 확산 같은 실천 가능한 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노동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ma1921k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