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무뇨스 "뉴욕서 중역들 모여 세미나"

"현대차 美 현지화 수준 높아"…관세 부과 영향 최소화
"HMGMA서 아이오닉 5·9 생산…향후 생산 차종 아직 미정"

본문 이미지 -  호세 무뇨스(사진)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이 16일(현지시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행사장인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국내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현대차 제공)
호세 무뇨스(사진)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이 16일(현지시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행사장인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국내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현대차 제공)

(뉴욕=뉴스1) 이동희 기자

"오늘(16일)부터 내일(17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중역 임원들이 모여 현대차 '중장기 사업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현대자동차(005380)가 최대 시장인 미국의 사업 불확실성에 대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최고경영자(CEO) 직속 전담 조직을 신설한 데 이어 미국 현지에서 CEO 주재 중장기 사업 전략 회의를 연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16일(현지시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행사장인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굉장히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지금까지 관세 정책을 살폈고, 현시점에서 중장기 전략 등을 점검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중장기 사업전략 세미나와 관련, 무뇨스 사장은 "지난해 8월 CEO 인베스터 데이 당시에 2030년 목표로 제시한 연간 판매량(550만 대)과 총주주환원율(35%) 등을 검토하는 회의"라고 부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국산 자동차 관세 25% 부과 등으로 경영 환경이 급변한 만큼 내부적으로 사업 전략을 재점검하는 자리로 보인다. 현대차는 최근 CEO 산하 미국 관세 대응전략 태스크포스팀(TFT)을 신설했다. 또 드류 퍼거슨(Drew Ferguson) 전 미국 연방하원의원을 HMG워싱턴사무소장에 선임하는 등 미국 사업 대응 속도를 높이고 있다.

관세 부과로 가격 인상 우려에 대해 무뇨스 사장은 "6월까지는 미국 내 판매되는 소비자가격을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격은 시장이 조정하는 것으로 기업은 비용과 공급 등을 효율화해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에 최고의 제품을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달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준공식에서 연간 생산량을 30만대에서 50만대로 증설할 계획을 밝혔듯 현대차의 미국 현지화 수준은 굉장히 높다"고 덧붙였다.

무뇨스 사장은 이날 뉴욕 오토쇼에서 북미 시장에 처음으로 공개한 '디 올 뉴 팰리세이드'와 관련해 시장 수요에 빠른 대응의 좋은 예시라고 소개했다.

그는 "팰리세이드는 현대차의 주요 제품군 중 하나이며, 특히 작년 2분기 기준 현대차의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는 전년 대비 68%가량 늘었다"며 "HMGMA에서는 현재 아이오닉 5와 9을 생산할 예정이며 아직 다음 모델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생산을 준비 중이다. 팰리세이드가 될 수도 있지만 정해진 것은 없다"고 전했다.

이 밖에 무뇨스 사장은 HMGMA에서 제네시스와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생산 계획도 진행 중이라면서 "언제 어떤 차종에 적용해 생산할지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yagoojo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