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메탈 전고체 배터리 시장, 2035년 최대 470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년대비 235배 급증…가격 킬로와트시당 120달러 예상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 SK온 부스가 관람객으로 붐비고 있다(자료사진) 2025.3.5/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 SK온 부스가 관람객으로 붐비고 있다(자료사진) 2025.3.5/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리튬메탈 음극을 적용한 전고체 배터리(SLMB) 시장 규모가 2035년 최대 470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대비 235배 성장해야 도달할 수 있는 수치다.

SNE리서치는 최근 발간한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 전망 리포트'를 통해 SLMB 전고체 배터리 가격이 2035년 킬로와트시(㎾h)당 120달러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해당 가격을 토대로 시장 규모를 환산하면 2024년 2억 달러 수준이던 SLMB 시장은 2030년 최소 320억 달러, 최대 470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튬메탈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고에너지 밀도 설루션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차나 드론, 항공 모빌리티 등 에너지 수요가 높은 분야의 핵심 동력원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이론적으로 용량이 약 10배 높은 리튬 메탈 음극을 적용하면 에너지 저장 효율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배터리 소형화와 장거리 주행 구현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리튬 덴드라이트 문제와 고체 전해질 계면(SEI) 층 파괴, 사이클 수명 저하 등의 기술적 난관이 남아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업계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 덴드라이트는 전지를 사용할 때 생기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으로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키고 폭발 위험을 높인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리튬메탈 배터리는 기술적 도전과 상업적 기회가 공존하는 전략적 전환점에 있다"며 "선제적 기술 확보와 소재·공정 혁신을 통해 차세대 시장 주도권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096pages@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