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금호석유화학그룹이 젊고 실험적인 혁신을 통해 미래 불확실성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래 수요를 파악해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수립, 주력 사업을 지키는 동시에 혁신으로 미래 불확실성에 대비한다는 것이다.
28일 그룹에 따르면 계열사 금호석유화학(011780)은 전기차 타이어 시장의 급성장과 맞물린 고 기능성 합성고무 제품인 SSBR의 고객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SSBR은 타이어 기술의 한계로 인식되는 내구성, 마모, 연비 요소들의 모순적 관계를 극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졌다. 전기차는 배터리 때문에 차체가 무겁고 동력 특성상 차량의 급격한 기동과 정지가 늘어나 타이어 마모가 심하다.
금호석유화학은 전기차용 타이어에 특화된 SSBR 기술력으로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이외 전기차 배터리 시장 급성장으로 회사의 탄소나노튜브(CNT)도 양극재와 음극재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글로벌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CNT의 생산능력 및 기술 확대 시점을 조율하고 있다.
금호피앤비화학은 BPA(플라스틱 제조 화학물질), 에폭시 등 주력 사업 전반에 걸쳐 업계 내의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에폭시 수지 원료인 ECH 사업을 위해 지난 2021년 OCI와 합작으로 설립한 OCI금호는 말레이시아의 산업단지 내에 올해 말을 목표로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생산이 가시화하는 대로 판매전략 수립에 나설 예정이다.
동성케미컬과의 합작사인 디앤케이켐텍은 기능성 준불연∙심재준불연 단열 소재인 PF보드를 금호석유화학의 프리미엄 창호인 '휴그린' 브랜드를 통해 선보이고 있다.
금호미쓰이화학은 지난해 폴리우레탄 원료 MDI의 20만 톤 증설을 완료해 61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향후 친환경 및 저탄소 MDI 제품을 개발하고 각종 환경 인증에 적극 대응해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금호폴리켐은 특수 합성고무인 EPDM에 국제 규격에 준하는 재활용 소재 적용 및 바이오 소재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 경영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관련 소재 산업의 성장에 발맞춰 내구성과 절연성이 우수한 친환경차 전용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신규 부품도 선보일 계획이다.
1096pages@news1.kr